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논어 필사224

[74일 차] 논어 제6편 옹야 4-5 4. 子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자위중궁왈 이우지자 성차각 수욕물용 산천기사저 공자께서 중궁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얼룩소 새끼라도 털이 붉고 뿔이 번듯하다면, 비록 제물로 쓰지 않으려 한들 산천의 신이 그것을 내버려 두겠는가? * 仲弓(중궁= 冉雍) : BC 522년 추정 ~ 미상. 노(魯)나라 도(陶) 사람으로 자는 중궁(仲弓)이다. 춘추(春秋) 말기 공자(孔子)의 제자로 소호(少昊)의 후예이다. 그는 “인덕(仁德)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언변도 뛰어나다”라고 알려지고, 공자는 그를 한 나라의 군주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공문십철(孔門十哲) 중 한 사람이다. * 犁 (밭갈 리) -犁牛之子(이우지자) : 얼룩소 새끼 * 騂 (붉은 말 성) : 털이 붉은.. 2023. 12. 15.
[73일 차] 논어 제6편 옹야 3 3.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子曰 “與之釜.” 자화사어제 염자위기모청속 자왈 여지부 請益. 曰 “與之庾.” 청익 왈 여지유 冉子與之粟五秉. 염자여지속오병 子曰 “赤之適齊也, 乘肥馬, 衣輕裘. 吾聞之也, 君子周急, 不繼富.” 자왈 적지적제야 승비마 의경구 오문지야 군자주급 불계부 原思爲之宰,與之粟九百,辭. 子曰 “毋!以與爾隣里鄕黨乎!” 원사위지재 여지속구백 사 자왈 무 이여이인리향당 자하가 제나라에 심부름 가게 되자, 염자가 자하의 어머니를 위하여 곡식을 보내주기를 청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여섯 말 넉 되를 주어라." 더 줄 것을 요청하자, "열여섯 말을 주어라"라고 하셨다. 염자가 곡식 여든 섬을 주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적이 제나라에 갈 때에 살찐 말을 타고 가벼운 털가죽옷을 입었다.. 2023. 12. 14.
[72일 차] 논어 제6편 옹야 2 2. 哀公問 "弟子孰爲好學?" 애공문 "제자숙위호학?"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 불천노, 불이과, 불행단명사의,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금야즉무, 미문호학자야." 애공이 물었다. "제자 중에 누가 배우기를 좋아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사람이 배우기를 좋아해서,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고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았는데, 불행히도 단명하여 죽었습니다. 이제는 그런 사람이 없으니, 그 후로는 아직 배우기를 좋아한다는 사람을 들어 보지 못했습니다." * 哀公(魯哀公, ? ~기원전 467년) : 노나라의 제27대 군주이다. 성은 희(姬), 휘는 장(將)이고 애공은 그의 시호이다. 애공은 노나라의 곡부 태생의 대유학자 공자가 만.. 2023. 12. 14.
[71일 차] 논어 제6편 옹야 1 1. 子曰 "雍也, 可使南面."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 簡."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子曰 "雍之言, 然."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옹은 임금 노릇을 맡길 만하다."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하여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괜찮지, 소탈한 사람이니까." 중궁이 말하였다. "항상 경건하면서도 행동할 때는 소탈한 자세로 백성들을 대한다면 또한 괜찮지 않습니까? 항상 소탈하면서 행동에 옮길 때도 소탈하다면 지나치게 소탈한 것이 아닙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네 말이 옳구나." * 雍(옹) : BC.522년 ~ 미상. 염옹(冉雍). 仲弓(중궁)이 자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 중 안회(안연)과 더불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같은 10대.. 2023.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