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7

[#366]논어 제15편 위령공 41장: 사면현 급계 자왈 계야 급석 위령공 41장師冕見, 及階, 子曰 “階也.” 及席, 사면현   급계   자왈   계야    급석子曰 “席也.” 皆坐, 子告之曰 “某在斯, 某在斯.” 자왈    석야    개좌   자고지왈     모재사  모재사師冕出, 子張問曰 “與師言之道與?” 사면출    자장문왈    여사언지도여子曰 “然. 固相師之道也.”자왈    연   고상사지도야장님인 악사 면이 뵈러 왔을 때, 섬돌에 이르자, 공자께서는 "섬돌입니다"라고 말씀하셨고, 자리에 이르자, 공자께서는 "자리입니다"라고 말씀하셨으며, 모두 앉자, 공자께서는 그에게 "아무개는 여기에 있고 아무개는 여기에 있습니다"라고 일러 주셨다. 악사 면이 나가자 자장이 여쭈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장님 악사와 말씀하실 때의 도리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2024. 10. 2.
[#365]논어 제15편 위령공 40장: 자왈 사달이이의 위령공 40장子曰 “辭達而已矣.”  자왈    사달이이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은 뜻을 정확히 표현하면 그만이다."* 辭達(사달): 뜻을 표현하는 수준에 이르다. 말은 뜻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으면 되지 화려한 수사는 필요 없다는 것이다. - 辭(말씀 사): 말씀, 명제명제(命題: 어떤 문제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판단 내용과 주장을 언어 또는 기호로 표시한 것). 핑계, 구실. * 達而已矣(달이이의): (내용을) 전달할 뿐이다. - 而已矣(이이의): ~일 뿐이다. 원래 접속사 而(이)와 '그치다'라는 뜻의 동사 已(이) 및 단정적인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 矣(의)가 결합된 것인데 석 자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言辭는 뜻이 통하게 할 뿐이다.” 언사는 .. 2024. 10. 1.
[#364]논어 제15편 위령공 39장: 자왈 도부동 불상위모 위령공 39장子曰 “道不同, 不相爲謀.”자왈    도부동   불상위모공자께서 말씀하셨다."추구하는 도(道)가 같지 않으면 함께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不相爲謀(불상위모): 서로 함께 (일을) 도모하지 않다. - 爲(위): ~와 함께. 與(여)와 같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道가 같지 않으면 서로 도모하지 못한다.” ‘不同(부동)’은 선과 악, 사와 정과 같은 종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39장 (논어집주, 성백효)지향하는 도가 같지 않으면 함께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사람은 가치관, 지적 수준, 재력 및 문화적 취향 등, 서로 비슷한 사람끼리 모이기 마련이다. 따라서 생각하는 바가 같지 않다면 일순간 모인다 해도 곧 흩어질 것이다. 추구하는 길이 다르다면 서로 타협점을.. 2024. 9. 30.
[#363]논어 제15편 위령공 38장: 자왈 유교무류 위령공 38장子曰 “有敎無類.” 자왈    유교무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가르침에 있어서는 차별을 두지 않는다."* 有敎無類(유교무류): 가르침에는 차별이 없다.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배움의 문이 개방되어 있다는 공자의 말. - 類(무리 류(유), 치우칠 뢰(뇌)): 무리,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가르침이 있으면 종류가 없다.” 사람의 性(성)은 다 선하나 그 종류에 선과 악의 다름이 있는 것은 기질과 습관에 물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자가 가르침이 있으면 사람이 모두 선으로 돌아올 수 있으니, 다시 그 종류의 악함을 논해서는 안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38장 (논어집주, 성백효)가르침이 있을 뿐 차별을 .. 2024.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