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7

[#370]논어 제16편 계씨 4장: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계씨편 4장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익한 벗이 셋이 있고 해로운 벗이 셋이 있다. 정직한 사람을 벗하고, 신의가 있는 사람을 벗하고, 견문이 많은 사람을 벗하면 유익하다. 위선적인 사람을 벗하고, 아첨 잘하는 사람을 벗하고, 말만 잘하는 사람을 벗하면 해롭다."* 益者三友(익자삼우): 유익한 유형으로 세 종류의 교우가 있다. - 益(더할 익, 넘칠 일): 수양과 공부에 도움이 되다, 즉 유익하다. - 三友(삼우): 友直(우직)·友諒(우량)·友多聞(우다문) 등 교우의 유형 세 가지를 가리킨다. - 損(덜 손): 덜다.. 2024. 10. 6.
[#369]논어 제16편 계씨 3장: 공자왈 녹지거공실오세의 계씨편 3장孔子曰 “祿之去公室五世矣, 공자왈    녹지거공실오세의政逮於大夫四世矣. 정체어대부사세의故夫三桓之子孫微矣.”고부삼환지자손미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리 임명권이 노나라의 조정을 떠난 지 5대가 되었고, 정권이 대부의 손에 들어간 지 4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삼환의 자손들도 세력이 쇠약해지는 것이다.* 祿之去公室五世矣(녹지거공실오세의): 작록(을 주는 권한)이 (노나라의) 공실을 떠난 것이 오대가 되다. 노나라는 선공(宣公) 때부터 성공(成公)·양공(襄公)·소공(昭公)을 거쳐 정공(定公)에 이르기까지의 오대 동안 정치가 대부들에 의하여 농락되었다.- 祿(녹 록(녹)) : 녹봉(祿俸). 여기서는 관리를 임명할 권한을 못한다.- 公室(공실): 노나라 제후 즉 공의 조정. 노나라의 왕실.- 矣(의): .. 2024. 10. 5.
[#368]논어 제16편 계씨 2장: 공자왈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 계씨편 2장孔子曰  공자왈“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천자출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천하무도    즉례악정벌자제후출自諸侯出, 蓋十世希不失矣, 자제후출    개십세희불실의自大夫出, 五世希不失矣,자대부출    오세희불실의陪臣執國命, 三世希不失矣. 배신집국명    삼세희불실의天下有道, 則政不在大夫, 천하유도    즉정부재대부天下有道, 則庶人不議.”천하유도    즉서인불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도(道)가 행해지면 예악과 정벌이 천자로부터 나오고, 천하에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예악과 정벌이 제후로부터 나온다. 그것이 제후로부터 나오면 대체로 십 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고, 그것이 대부로부터 나오면 오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며, 그것이 가신(家臣).. 2024. 10. 4.
[#367]논어 제16편 계씨 1장: 계씨장벌전유 염유 계로현어 계씨편 1장季氏將伐顓臾. 계씨장벌전유冉有·季路見於孔子曰 “季氏將有事於顓臾.” 염유·계로현어공자왈      계씨장유사어전유계손씨가 전유를 정벌하려 하자, 염유와 자로가 공자를 찾아뵙고 말씀드렸다."계씨가 전유에 대해 일을 벌이려고 합니다." 孔子曰 “求! 無乃爾是過與? 夫顓臾, 昔者先王以爲東蒙主, 공자왈    구! 무내이시과여      부전유   석자선왕이위동몽주且在邦域之中矣, 是社稷之臣也. 何以伐爲?” 차재방역지중의    시사직지신야    하이벌위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구(염유)야! 그것은 너의 잘못이 아니겠느냐? 전유는 옛날 선왕께서 동몽주로 삼으셨고, 또한 우리나라의 영역 안에 있다. 이는 이 나라 사직의 신하인데 어째서 정벌한다는 것이냐?" 冉有曰 “夫子欲之, 吾二臣者皆不欲也.” 염유왈    부자.. 2024.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