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논어 제16편 계씨 4장: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계씨편 4장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익한 벗이 셋이 있고 해로운 벗이 셋이 있다. 정직한 사람을 벗하고, 신의가 있는 사람을 벗하고, 견문이 많은 사람을 벗하면 유익하다. 위선적인 사람을 벗하고, 아첨 잘하는 사람을 벗하고, 말만 잘하는 사람을 벗하면 해롭다."* 益者三友(익자삼우): 유익한 유형으로 세 종류의 교우가 있다. - 益(더할 익, 넘칠 일): 수양과 공부에 도움이 되다, 즉 유익하다. - 三友(삼우): 友直(우직)·友諒(우량)·友多聞(우다문) 등 교우의 유형 세 가지를 가리킨다. - 損(덜 손): 덜다..
2024. 10. 6.
[#368]논어 제16편 계씨 2장: 공자왈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
계씨편 2장孔子曰 공자왈“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천자출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천하무도 즉례악정벌자제후출自諸侯出, 蓋十世希不失矣, 자제후출 개십세희불실의自大夫出, 五世希不失矣,자대부출 오세희불실의陪臣執國命, 三世希不失矣. 배신집국명 삼세희불실의天下有道, 則政不在大夫, 천하유도 즉정부재대부天下有道, 則庶人不議.”천하유도 즉서인불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도(道)가 행해지면 예악과 정벌이 천자로부터 나오고, 천하에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예악과 정벌이 제후로부터 나온다. 그것이 제후로부터 나오면 대체로 십 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고, 그것이 대부로부터 나오면 오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며, 그것이 가신(家臣)..
2024.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