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씨편 3장
孔子曰 “祿之去公室五世矣,
공자왈 녹지거공실오세의
政逮於大夫四世矣.
정체어대부사세의
故夫三桓之子孫微矣.”
고부삼환지자손미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리 임명권이 노나라의 조정을 떠난 지 5대가 되었고, 정권이 대부의 손에 들어간 지 4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삼환의 자손들도 세력이 쇠약해지는 것이다.
* 祿之去公室五世矣(녹지거공실오세의): 작록(을 주는 권한)이 (노나라의) 공실을 떠난 것이 오대가 되다. 노나라는 선공(宣公) 때부터 성공(成公)·양공(襄公)·소공(昭公)을 거쳐 정공(定公)에 이르기까지의 오대 동안 정치가 대부들에 의하여 농락되었다.
- 祿(녹 록(녹)) : 녹봉(祿俸). 여기서는 관리를 임명할 권한을 못한다.
- 公室(공실): 노나라 제후 즉 공의 조정. 노나라의 왕실.
- 矣(의): ~하게 되다. 상황의 변화나 새로운 상황의 출현을 표시하는 어기조사.
* 四世(사세): 계씨(季氏) 일가인 문자(文子)·무자(武子)·평자(平子)·환자(桓子)의 사대.
- 逮(잡을 체, 탈 태): 잡다, 체포하다. 뒤따라 가서 붙잡다.
* 夫三桓之子孫微矣(부삼환지자손미의): 저 삼환의 자손이 쇠미하게 되다. 노나라 정공(定公) 때 계씨의 가신인 양화(陽貨)가 계환자(季桓子)를 가두고 국정을 전횡한 사실을 말한다.
- 夫(부): 저. 지시대사.
- 三桓(삼환): 노(魯)나라의 세도가였던 맹손씨(孟孫氏, 일명 仲孫氏(중손씨))·숙손씨(叔孫氏)·계손씨(季孫氏). 이들은 각각 노나라 환공(桓公)의 둘째·셋째·넷째 아들이 이룬 집안이었기 때문에 삼환 또는 삼가라고 불렀다. 애공(哀公) 때에 이르러 쇠약해졌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祿이 公室에서 떠난 지가 5世가 되었고 政事가 大夫에게 미친 지가 4世가 되었다. 그러므로 저 三桓의 子孫이 미약한 것이다.”
노나라는 文公(문공)이 죽자 公子遂(공자수)가 子赤(자적)을 살해하고 宣公(선공)을 세운 뒤로부터 군주가 정권을 잃어 成公(성공) · 襄公(양공) · 昭公(소공) · 定公(정공)을 지나 모두 다섯 公(공)이다. ‘逮(체)’는 미침이다. 季武子(계무자)가 처음 국정을 專擅(전천, 전단)한 뒤로부터 悼子(도자) · 平子(평자) · 桓子(환자)를 거쳐 모두 4대 만에 〈환자가〉 가신인 陽虎(양호)에게 붙잡힘(견제)을 당하였다. 三桓(삼환)은 三家(삼가)이니, 모두 桓公(환공)의 후손이다. 이것은 앞장의 말로 미루어 그 당연함을 아신 것이다.
이 장은 오로지 노나라 일을 논하였으니, 의심컨대 앞장과 더불어 모두 定公(정공) 때의 말씀인 듯하다.
소 씨(蘇軾(소식))가 말하였다. “예악과 정벌이 제후로부터 나오면 마땅히 제후가 강성해야 할 터인데 노나라가 정권을 잃었고, 정사가 大夫(대부)에게 미치면 마땅히 대부가 강성해야 할 터인데 삼환이 미약해짐은 어째서인가? 강함은 안정에서 생기고 안정은 상하의 분수가 정해짐에서 생기는데, 지금 제후와 대부가 모두 그 윗사람을 업신여기니 아랫사람들을 명령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모두 오래지 않아서 〈정권을〉 잃은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계씨편 3장 (논어집주, 성백효)
계씨편 2장에서 공자는 천하에 도가 행해지지 않을 때 예악과 정벌[내치와 외치]이 대부로부터 나오면 오대 안에 정권을 잃게 된다고 하였다. 노나라의 정권이 대부인 삼환에게 넘어간 지 4대가 되었으니 이는 천하에 도를 잃은 지 이미 오래되어 곧 실권할 것이라는 의미이며 경계의 말이다.
노나라는 선공(宣公) 때부터 성공(成公)·양공(襄公)·소공(昭公)을 거쳐 정공(定公)에 이르기까지의 오대 동안 정치가 대부들에 의하여 농락되었다. 바로 삼환 계씨(季氏) 일가인 문자(文子)·무자(武子)·도자(悼子)를 거쳐 평자(平子)까지 사대를 말한다. 계무자가 처음 국정을 농단한 뒤로 사대 후인 환자(桓子) 때 가신 양호(陽虎)에게 견제를 당하여 세력이 쇠약해졌다. 노나라 애공(哀公) 때의 일이다.
소식(蘇軾)은 삼환의 세력이 미약해짐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강함은 안정에서 생기고 안정은 상하의 분수가 정해짐에서 생기는데, 지금 제후와 대부가 모두 윗사람을 업신여겨 아랫사람들을 제대로 부릴 수가 없기 때문에 모두 오래지 않아서 정권을 잃은 것이라고 하였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는 말이 있다. 열흘 붉은 꽃은 없고 젊음이나 아름다움은 찰나에 불과하다. 한번 흥한 것은 반드시 쇠하기 마련이고 영원한 절대 권력이란 없다. 달도 차면 기울어진다. 모든 것은 반드시 역사 속에 사라지고 그 평가는 살아있는 자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온다. 살아있을 때 잘하자.
[#368]논어 제16편 계씨 2장: 공자왈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
계씨편 2장孔子曰 공자왈“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천자출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천하무도 즉례악정벌자제후출自諸侯出, 蓋十世希不失矣
998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