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씨편 2장
孔子曰 공자왈
“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천하유도 즉례악정벌자천자출
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천하무도 즉례악정벌자제후출
自諸侯出, 蓋十世希不失矣,
자제후출 개십세희불실의
自大夫出, 五世希不失矣,
자대부출 오세희불실의
陪臣執國命, 三世希不失矣.
배신집국명 삼세희불실의
天下有道, 則政不在大夫,
천하유도 즉정부재대부
天下有道, 則庶人不議.”
천하유도 즉서인불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도(道)가 행해지면 예악과 정벌이 천자로부터 나오고, 천하에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예악과 정벌이 제후로부터 나온다.
그것이 제후로부터 나오면 대체로 십 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고, 그것이 대부로부터 나오면 오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며, 그것이 가신(家臣)으로부터 나오면 삼대 안에 정권을 잃지 않는 일이 드물다.
천하에 도가 행해지면 정권이 대부에게 있지 않으며, 천하에 도가 행해지면 일반 백성들이 정치를 논하지 않는다."
*禮樂征伐自天子出(례악정벌자천자출): 예악과 정벌(에 관한 생각)이 천자에게서 나오다.
- 禮樂(예악): 예법과 음악, 문물과 제도 등 주요한 문화 전반을 가리킨다.
- 征伐(정벌): 잘못된 것을 무력으로 공격하여 바로잡는 일이다.
- 自(자): 시발점을 표시하는 전치사.
* 希不失(희불실): 나라를 잃지 않는 길이 드물다. 希=稀 드물다.
* 陪臣(배신):陪는 '중첩하다'의 뜻이므로 배신은 '신하의 신하', 즉 가신(家臣)을 말한다.
* 執國命(집국명): 나라의 명령권을 잡다, 즉 정권을 잡다.
- 執(잡을 집): 잡다, 붙잡다, 맡아 다스리다.
* 不議(불의): 나라의 정치에 대하여 논의하지 않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天下에 道가 있으면 禮樂과 征伐이 天子로부터 나오고, 天下에 道가 없으면 禮樂과 征伐이 諸侯로부터 나온다. 諸侯로부터 나오면 10世에 〈정권을〉 잃지 않는 자가 드물고, 大夫로부터 나오면 5世에 잃지 않는 자가 드물고, 陪臣이 國命을 잡으면 3世에 잃지 않는 자가 드물다.
天下에 道가 있으면 政事가 大夫에게 있지 않고, 天下에 道가 있으면 庶人들이 〈함부로〉 議論(비난)하지 않는다.”
선왕의 制度(제도)에 제후는 예악을 변경하고 정벌을 마음대로 할 수 없다. ‘陪臣(배신)’은 가신이다. 이치를 거스름이 심하면 〈정권을〉 잃음이 더욱 빨라지니, 대략 世數(세수)가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는다.
天下에 道가 있으면 政事가 大夫에게 있지 않고: 〈大夫(대부)가〉 정사를 마음대로 할 수 없음을 말씀한 것이다.
天下에 道가 있으면 庶人들이 〈함부로〉 議論(비난)하지 않는다: 윗사람이 실정(잘못한 정사)이 없으면 아랫사람들이 사사로이 의논함이 없으니, 그 입에 재갈을 물려서 감히 말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장은 천하의 대세를 통론하셨다.
[네이버 지식백과] 계씨편 2장 (논어집주, 성백효)
천하에 도가 행해진다는 것은 이치에 맞게 세상이 돌아가도록 다스리는 성인이 있기 때문이다. 백성들은 누가 임금인지 모를 정도로 천하가 태평하게 된다. 이때는 예법과 음악, 문물과 제도 등 주요한 문화 전반과 무력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정벌은 천자로부터 나오게 된다.
하지만 천자 없이 천하가 무도하게 된다면 천자 아래 제후가 문무를 장악하게 되어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게 된다. 공자는 제후가 전권을 장악하게 되면 십 대 안에, 대부는 오 대 안에, 그리고 가신은 삼 대 안에 정권을 잃게 된다고 하였다.
공자는 아무 자격 없는 사람이 정권을 장악할 경우 그 사회는 오래 지탱할 수 없음을 경고하고 있다. 학문을 닦고 덕을 쌓은 사람만이 도를 행할 수 있고 지도자가 되어 태평하고 이상적인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최고의 지도자는 백성들이 지도자가 없어도, 정치를 논할 필요없이 잘 살게 하는 것이다.
전설의 태평성대인 요임금 시절, 백성들의 삶을 살피기 위한 시찰을 하던 요임금은 천자인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 채 막대기로 땅을 치며 노래(격양가)를 부르는 백성을 보고 무례함을 따지지 않고 오히려 기뻐했다고 한다. 백성들은 누가 나라를 다스리는 지는 관심없고 열심히 일할 땅과 배부름이 최고였던 것으로 요임금의 치세에 만족한다는 뜻이었기 때문이다.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네.
우물 파서 마시고, 밭을 갈아 먹으니,
천자의 덕이 내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
- 격양가(擊壤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