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심보감 필사86

[명심보감#087] 8. 계성편-5.2: 천자불인 국공허 제후불인 子張曰 不忍則如何자장왈 불인즉여하 자장이 이번에는 "참지 않으면 어떻게 됩니까?"라고 여쭈었다.子曰 자왈 공자께서 이렇게 대답하셨다.天子不忍 國空虛 천자불인 국공허 천자가 참지 않으면 나라가 황폐해질 것이다.諸侯不忍 喪其軀 제후불인 상기구제후가 참지 않으면 그 몸마저 잃게 될 것이다.官吏不忍 形法誅 관리불인 형법주관리가 참지 않으면 법 앞에 죽음을 당하게 될 것이다.兄弟不忍 各分居 형제불인 각분거 형제가 서로 참지 않으면 갈라져 따로 살게 될 것이다.夫妻不忍 令子孤 부처불인 영자고부부가 서로 참지 않으면 자식들을 부모 없는 고아가 되게 할 것이다.朋友不忍 情意疎 붕우불인 정의소친구가 서로 참지 않으면 서로 간에 우정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自身不忍 患不除 자신불인 환불제자신이 참지 않으.. 2025. 7. 15.
[명심보감#086] 8. 계성편-5.1: 자장욕행 사어부자 원사일언 명심보감 [明心寶鑑] 8. 계성편(戒性篇)-5.1 子張欲行 辭於夫子 자장욕행 사어부자 願賜一言 爲修身之美 원사일언 위수신지미 子曰 百行之本 忍之爲上 자왈 백행지본 인지위상 子張曰 何爲忍之 자장왈 하위인지 子曰 자왈 天子忍之 國無害 천자인지 국무해 諸侯忍之 成其大 제후인지 성기대官吏忍之 進其位 관리인지 진기위 兄弟忍之 家富貴 형제인지 가부귀 夫妻忍之 終其世 부처인지 종기세 朋友忍之 名不廢 붕우인지 명불폐 自身忍之 無禍害 자신인지 무화해자장이 떠나고자 하였다. 공자께 하직인사를 올리며 삶의 지침이 될 한 마디 교훈을 청하였다. 공자께서 "모든 행실의 근본으로는 참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자장이 "참는다는 건 무엇입니까?"라고 여쭈었다. 공자께서 이렇게 대답하셨다... 2025. 7. 14.
[명심보감#085] 8. 계성편-4: 우탁생진노 개인리불통 명심보감 [明心寶鑑] 8. 계성편(戒性篇)-4 愚濁生嗔怒 皆因理不通 우탁생진노 개인리불통 休添心上火 只作耳邊風 휴첨심상화 지작이변풍 長短家家有 炎凉處處同 장단가가유 염량처처동 是非無實相 究竟摠成空 시비무실상 구경총성공어리석은 사람이 크게 화내니 세상 이치 깨닫지 못해서라네 마음에 화의 불길 돋우지 마오 귓가를 스쳐가는 바람결마냥 집집마다 장점 단점 모두 있고요 곳곳마다 덥고 찬 데 모두 같다네 옳고 그름 본래부터 실상이 없어 마침내 모두가 부질없다네* 愚濁(우탁): 어리석고 혼탁하다. - 愚(어리석을 우) - 濁(흐릴 탁) * 嗔怒(진노): 크게 화내다. - 嗔(성낼 진, 성한 모양 전) - 怒(성낼 노) - 皆(다 개) - 因(인할 인) - 休(쉴 휴, 따뜻하게 할 후) - 添(더할 첨) - 只.. 2025. 7. 13.
[명심보감#084] 8. 계성편-3: 득인차인 득계차계 불인불계 명심보감 [明心寶鑑] 8. 계성편(戒性篇)-3 得忍且忍 得戒且戒 득인차인 득계차계 不忍不戒 小事成大 불인불계 소사성대참고 또 참아라. 조심하고 또 조심해라. 참지 않고 조심하지 않으면 사소한 일이 큰일 된다.* 得忍(득인): 참음을 얻다. - 忍(참을 인) - 且(또 차, 공경스러울 저, 도마 조) * 得戒(득계): 조심함을 얻다. - 戒(경계할 계) 참고 또 참고, 경계하고 또 경계하라. 참지 않고 경계하지 않으면 작은 일이 큰일이 되어버린다. 인내를 거듭 강조하고 있다. 사소한 일로 갈등이 빚어져 심각한 사태로 번지는 경우가 왕왕 있다. 조금만 참고 한번 더 생각해 보면 해결이 될 수 있을 텐데 순간을 참지 못해서 벌어지는 일이다. 요즘은 흔히 분노조절장애(분노장)라고 하여 사소한 일에도 화를 .. 2025.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