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심보감 필사88

[명심보감#081] 7. 존심편-20: 생사사생 생사사생 명심보감 [明心寶鑑] 7. 존심편(存心篇)-20 生事事生 省事事省 생사사생 생사사생일을 만들면 일이 생기고 일을 덜면 일이 줄어든다.* 生事(생사): 일을 만들다. - 事(일 사) * 事生(사생): 일이 생기다. * 省事(생사): 일을 덜다. - 省(살필 성, 덜 생, 가을 사냥 선) * 事省(사생): 일이 줄다.일을 만들면 일이 생기고 일을 덜면 일이 줄어든다. 일이 많으면 마음이 혼란스러워 탈도 많이 나니 일을 만들지 말라. 무슨 일이든지 적당히 하라는 것이다. 같은 일을 해도 일머리가 있어서 효율적으로 간단하게 일을 끝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체계가 없어 우왕좌왕하며 복잡하게 일을 더 만들어내는 사람이 있다. 쓸데없이 일을 만들어 시간낭비하면서 근심걱정을 만들지 말자. 여유롭지 못한 마음이 일.. 2025. 7. 9.
[명심보감#080] 7. 존심편-19: 이모부장 회지하급 이견부장 명심보감 [明心寶鑑] 7. 존심편(存心篇)-19 爾謀不藏 悔之何及이모부장 회지하급爾見不長 敎之何益 이견부장 교지하익 利心專則背道이심전즉배도 私意確則滅公 사의확즉멸공너의 생각이 삐뚤어져 있으면 타일러 준들 무슨 소용 았으며, 너의 의견이 좋지 못하면 가르쳐 준들 무슨 보탬이 있겠는가.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면 도리를 어기게 되고 사사로운 생각이 굳어지면 공정함을 해친다.* 爾謀(이모): 너의 꾀. - 爾(너 이/꽃 많고 성한 모양 이) - 謀(꾀 모) * 不藏(부장): 좋지 않다. - 藏(감출 장/오장 장) - 悔(뉘우칠 회) * 何及(하급): ~에 미치겠는가. - 何(어찌 하/꾸짖을 하/멜 하) - 及(미칠 급) - 益(더할 익, 넘칠 일) - 專(오로지 전, 모일 단) * 背道(배도): 도리를 어기.. 2025. 7. 8.
[명심보감#079] 7. 존심편-18: 이애처자지심 사친 즉곡진기효 명심보감 [明心寶鑑] 7. 존심편(存心篇)-18 以愛妻子之心 事親 則曲盡其孝이애처자지심 사친 즉곡진기효以保富貴之心 奉君 則無往不忠 이보부귀지심 봉군 즉무왕불충 以責人之心 責己 則寡過 이책인지심 책기 즉과과 以恕己之心 恕人 則全交 이서기지심 서인 즉전교아내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부모님을 섬긴다면 그 효도는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재산과 명예를 지키는 마음으로 임금을 받든다면 그 충성은 어디든 펼쳐질 것이다. 다른 사람을 탓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꾸짖는다면 허물이 적을 것이다.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용서한다면 사귐이 온전할 것이다.- 妻(아내 처) - 盡(다할 진) - 奉(받들 봉) * 無往不忠(무왕불충): 가는 곳마다 충성하지 않음이 없다(어디를 가더라도 충성한다)... 2025. 7. 7.
[명심보감#078] 7. 존심편-17: 숙흥야매 소사충효자 인부지 명심보감 [明心寶鑑] 7. 존심편(存心篇)-17 夙興夜寐 所思忠孝者 숙흥야매 소사충효자 人不知 天必知之 인부지 천필지지 飽食煖衣 怡然自衛者 포식난의 이연자위자 身雖安 其如子孫何 신수안 기여자손하아침 일찍 일어나 밤늦게 잠들 때까지 늘 충성과 효도를 생각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하늘은 반드시 그 사실을 안다. 배 부르게 먹고 따뜻한 옷 입고 편안하게 제 몸 하나 지키며 사는 사람은 그 몸 하나는 편안하더라도 자손들은 어찌 될는지.* 夙興(숙흥): 일찍 일어나다. - 夙(이를 숙) - 興(일 흥, 피 바를 흔) * 夜寐(야매): 늦게 자다. - 夜(밤 야, 고을 이름 액) - 寐(잘 매) * 飽食(포식): 배 부르게 먹다. - 飽(배부를 포) * 煖衣(온의): 따뜻하게 입다. - .. 2025.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