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논어 제8편 태백 2장: 공이무례즉로 신이무례즉시
태백편 2장 태백 2장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자왈 공이무례즉로 신이무례즉시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용이무례즉란 직이무례즉교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군자독어친 즉민흥어인 故舊不遺, 則民不偸.” 고구불유 즉민불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면서도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기만 하고, 신중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두려움을 갖게 되며, 용감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질서를 어지럽히게 되고, 정직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박절하게 된다. 군자가 친족들을 잘 돌봐주면 백성들 사이에서는 인(仁)한 기풍이 일어나며,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 葸 (두려워할 사/시, 눈 휘둥그레질 사) : 두려워하다, 겁내다, 위축되다 * 絞 (목맬 교/ 초록빛 효) : 박절하다, 헐뜯다, 비방하..
2024. 2. 10.
[#130] 논어 제8편 태백 1장: 기가위지덕야이의
태백 1장 태백 1장 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자왈 태백 기가위지덕야이의 삼이천하양 민무득이칭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백은 지극한 덕을 지닌 분이라고 할 수 있다. 끝내 천하를 양보하였지만 백성들은 그를 칭송할 길이 없었다" * 泰伯 (태백) : 오태백(吳太伯)을 이르는 이름으로 성은 희(姬)이고, 씨(氏)는 오(吳), 이름은 태백(泰伯)이다. 太白(태백)으로도 쓴다. 주나라(은나라의 제후국)의 선조인 태왕(太王,고공단보,古公亶父)의 맏아들. 태왕이 세 아들 중 현명한 막내아들 계력(季歷)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 하자, 둘째 동생(중옹, 仲雍)을 데리고 집을 떠나 숨었다. 왕이 된 계력이 낳은 아들(창, 昌)이 뒤에 문왕이 되었고, 문왕의 아들 무왕은 은나라를 물..
2024. 2. 9.
[128일 차] 논어 제7편 술이 35장: 사즉불손 검즉고
논어 제7편 술이 35장 술이 35장 子曰 “奢則不孫, 儉則固, 자왈 사즉불손 검즉고 與其不孫也, 寧固.” 여기불손야 영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치스럽게 하다 보면 공손함을 잃게 되고, 검소하게 하다 보면 고루하게 되지만, 공손함을 잃기보다는 차라리 고루한 것이 낫다. * 奢 (사치 사) : 사치하다, 낫다, 자랑하다, 더 좋다. * 固 (굳을 고) : 융통성 없이 고지식하다, 고루하다 * 與其(여기) ~寧(녕) ~ : '~ 하느니 차라리 ~ 하는 편이 더 낫다'라는 뜻의 관용어. - 寧(편안할 녕) : (부사) 차라리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치하면 공순하지 못하고 검소하면 고루하니, 공순하지 못하기보다는 차라리 고루하여야 한다.” ‘孫(손)’은 공순함이요 ‘固(고)’는 고루함이다. ..
2024.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