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8

[#228]논어 제12편 안연 4장: 사마우군자 자왈 군자불우불구 안연 4장司馬牛君子, 子曰 “君子不憂不懼.” 사마우군자   자왈    군자불우불구曰 “不憂不懼, 斯謂之君子矣乎?” 왈    불우불구   사위지군자의호子曰 “內省不疚, 夫何憂何懼?”자왈    내성불구   부하우하구사마우가 군자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근심하지도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근심도 하지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으면, 곧 그 사람을 군자라고 할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속으로 반성하여 거리낌이 없다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하겠느냐?"* 夫何憂何懼(부하우하구): 무엇을 걱정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 夫(부): 문장의 첫머리에서 이야기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청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어기조사. 보통 발어사(發語詞)라고 한다. - 懼(두려워할.. 2024. 5. 17.
[#227]논어 제12편 안연 3장: 사마우문인 자왈 인자 기언야언 안연 3장司馬牛問仁,  子曰  “仁者, 其言也訒.”사마우문인    자왈    인자   기언야언曰  “其言也訒, 斯謂之仁矣乎?” 왈    기언야언   사위지인의호子曰  “爲之難, 言之得無訒乎?”자왈    위지난   언지득무언호사마우가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인한 사람은 말하는 것을 조심한다." "말하는 것을 조심하면 곧 그 사람을 인하다고 할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실천하는 것이 어려우니, 말하는 데 조심함이 없을 수 있겠느냐?"* 司馬牛(사마우): 송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이며 나무를 뽑아 공자를 죽이려고 했던 사마환퇴(司馬桓魋)의 동생. 이름이 경(耕) 또는 리(犁)이고 자가 자우(子牛)이다. 말이 많고 성질이 조급하지만 언변이 능란했으며 형 환퇴의 나쁜 행동을 늘 .. 2024. 5. 16.
[#226]논어 제12편 안연 2장: 중궁문인 자왈 출문여견대빈 안연 2장仲弓問仁, 子曰중궁문인   자왈“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출문여견대빈   사민여승대제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在邦無怨, 在家無怨.” 재방무원   재가무원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중궁왈     옹수불민   청사사어의 중궁이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 문을 나가서는 큰 손님을 대하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드는 듯이 하며,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을 남에게 하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나라에서도 원망하는 이가 없고, 집 안에서도 원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다." 중궁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총명하지는 못하오나, 이 말씀을 명심하고 실천하겠습니다."* 仲弓(중궁): 춘추시대 노나라 도 출신. 염옹(冉雍)의 자. 춘추시대 말기 공자의 .. 2024. 5. 15.
[#225]논어 제12편 안연 1장: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안연 1장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爲仁由己, 而由人乎哉?” 위인유기   이유인호재顔淵曰 “請問其目.” 안연왈    청문기목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안연왈    회수불민   청사사어의안연이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자기를 이겨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 하루만이라도 자기를 이겨내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에 귀의할 것이다. 인을 실천하는 것이야 자신에게 달린 것이지 다른 사람에게 달린 것이겠느냐?" 안연이 여쭈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을 여쭙고자 합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2024.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