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8

[#232]논어 제12편 안연 8장: 극자성왈 군자 질이이의 하이문위 안연 8장棘子成曰 “君子質而已矣, 何以文爲?” 극자성왈    군자질이이의   하이문위子貢曰 “惜乎! 夫子之說君子也, 駟不及舌. 자공왈    석호   부자지설군자야   사불급설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鞹, 猶犬羊之鞹.”문유직야   질유문야   호표지곽   유견양지곽극자성이 말하였다. "군자는 본래의 바탕만 갖추고 있으면 되는 것이지, 겉모습이나 형식은 꾸며서 무엇하겠습니까?" 자공이 말하였다. "안타깝구려! 군자에 대해 선생이 그렇게 주장하는 것을 보니,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도 선생의 혀를 따르지는 못할 것입니다. 무늬도 바탕만큼 중요하고, 바탕도 무늬만큼 중요합니다. 호랑이와 표범의 털 없는 가죽은 개와 양의 털 없는 가죽과 같기 때문입니다."* 棘子成(극자성): 춘추시대 위(衛)나라 대부의 이름.. 2024. 5. 21.
[#231]논어 제12편 안연 7장: 자공문정 자왈 족식 족병 민신지의 안연 7장子貢問政, 子曰 “足食, 足兵, 民信之矣.” 자공문정   자왈    족식   족병   민신지의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何先?” 자공왈    필부득이이거   어사삼자하선曰 “去兵.” 왈    거병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二者何先?” 자공왈    필부득이이거   어사이자하선曰 “去食.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  왈    거식   자고개유사   민무신불립자공이 정치에 대해서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것, 군비를 넉넉히 하는 것, 백성들이 믿도록 하는 것이다."자공이 말하였다. "어쩔 수 없어서 한 가지를 버려야 한다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것을 먼저 버려야 합니까?" "군대를 버린다." 자공이 여쭈었다. "어쩔 수 없어서 한 가지를 버려야 한다면 어느 것을 먼저 .. 2024. 5. 20.
[#230]논어 제12편 안연 6장: 자장문명 자왈 침윤지참 안연 6장子張問明, 子曰 “浸潤之讒, 膚受之愬, 자장문명   자왈    침윤지참   부수지소不行焉, 可謂明也已矣. 불행언   가위명야이의浸潤之讒, 膚受之愬, 침윤지참   부수지소不行焉, 可謂遠也已矣.”불행언   가위원야이의자장이 총명함에 대해서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서서히 젖어들게 하는 교묘한 참소와 피부에 와닿는 듯한 절실한 하소연이 통하지 않는다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서서히 젖어들게 하는 교묘한 참소와 피부에 와 닿는 듯한 절실한 하소연이 통하지 않는다면, 멀리까지 내다볼 수 있을 만큼 밝은 안목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子張(자장): 전손사((顓孫師, 기원전 503년 ~ ?),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로 공자보다 48세 연하의 제자. 자는 자장(子張)이며 진(陳) 나라 사람이.. 2024. 5. 19.
[#229]논어 제12편 안연 5장: 사마우우왈 인개유형제 아독무 안연 5장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 사마우우왈    인개유형제   아독무子夏曰 “商聞之矣, 死生有命, 富貴在天. 자하왈    상문지의   사생유명   부귀재천君子敬而無失, 與人恭而有禮, 군자경이무실   여인공이유례 四海之內, 皆兄弟也. 사해지내   개형제야君子何患乎無兄弟也.”군자하환호무형제야 사마우가 근심스럽게 말하였다. "남들은 모두 형제가 있는데 저만이 홀로 없습니다." 자하가 말하였다. "제가 듣건대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달려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군자가 공경라는 마을을 가지고 한 순간도 소홀함이 없이 노력하며, 남에게 공손하고 예의를 지킨다면, 온 세상의 사람들이 모두 형제입니다. 군자가 어찌 형제 없음을 근심하겠습니까?"* 子夏(자하): 북방 진나라 출신으로 본.. 2024.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