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연 2장
仲弓問仁, 子曰
중궁문인 자왈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출문여견대빈 사민여승대제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在邦無怨, 在家無怨.”
재방무원 재가무원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
중궁왈 옹수불민 청사사어의
중궁이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 문을 나가서는 큰 손님을 대하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드는 듯이 하며,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을 남에게 하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나라에서도 원망하는 이가 없고, 집 안에서도 원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다."
중궁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총명하지는 못하오나, 이 말씀을 명심하고 실천하겠습니다."
* 仲弓(중궁): 춘추시대 노나라 도 출신. 염옹(冉雍)의 자. 춘추시대 말기 공자의 제자로 주 문왕의 열 번째 아들 염계재(冉季載)의 후예다. ‘이우씨(犁牛氏)’로 불렸다.
* 己所不欲(기소불욕): 자기가 (다른 사람이 자기에게 하기를) 바라지 않는 바.
* 勿施於人(물시어인): 다른 사람에게 가하지 말라.
- 施(시): 가하다.
* 在邦無怨(재방무원): 나라에서 (공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원망이 없다.
논어집주 해석
敬(경)으로써 자기 몸을 지키고 恕(서)로써 남에게 미친다면 私意(사의)가 용납할 곳이 없어서 마음의 덕이 온전해질 것이다. 안에서나 밖에서나 원망함이 없다는 것은 또한 그 효험으로 말씀하여 스스로 고찰하게 하신 것이다.
정자(伊川(이천))가 말씀하였다. “공자께서 仁(인)을 말씀하실 적에 다만 ‘문을 나갔을 때에는 큰 손님을 뵌 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들듯이 하라.’고 말씀하셨으니, 그 기상을 보면 모름지기 마음이 넓고 몸이 펴져서 動容(동용)하고 周旋(주선)함이 예에 맞는 것이니, 오직 謹獨(근독)이 바로 이것을 지켜내는 법이다.”
혹자가 묻기를 “문을 나가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이와 같이 하는 것이 可(가)하거니와(옳지만) 아직 문을 나가지 않고 백성을 부리지 않을 때에는 어찌해야 합니까?” 하니, 정자가 대답하였다. “이것은 엄연히 생각하는 것처럼 할 때이다. 敬(경)이 심중에 있은 뒤에야 외모에 나타나니, 문을 나가고 백성을 부릴 때에 공경함이 이와 같음을 보았다면 이보다 앞서의 敬(경)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문을 나가고 백성을 부림을 인한 뒤에 이 敬(경)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상고해 보건대, 克己復禮(극기복례)는 乾道(건도)요, 敬(경)을 주장하고 恕(서)를 행함은 坤道(곤도)이다. 顏子(안자)와 冉子(염자)의 학문은 그 높고 낮음과 얕고 깊음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배우는 자가 진실로 敬(경)과 恕(서)의 사이에서 종사하여 얻음이 있다면 또한 장차 이길 만한 사욕이 없게 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안연편 2장 (논어집주, 성백효)
안연 1장에서는 안연의 인에 대한 물음에 '극기복례(克己復禮)', 즉 나를 버리고 예로 돌아가라는 답을 하셨다. 안연 2장에서는 정치를 하는 중궁(염옹)의 인에 대한 물음에 '기소불욕, 물시어인'이라고 풀이하셨다. 인(仁)이란 한두 마디 말로 표현될 것이 아닌 바 제자들의 성향에 맞게 말씀을 해주신 것이다.
위령공편에서 자공이 평생에 걸쳐서 실천할 덕목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공자가 대답했던 것도 바로 '기소불욕 물시어인'이다. 이는 충서(忠恕)로써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고 타인에게는 배려를 행하라는 의미이다.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이란 내가 싫어하는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뜻으로 성경에서도 이런 말씀이 나온다(마태복음 7:12 너희는 남에게 대접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공자가 말하는 서(恕)의 개념과도 같고 역지사지(易地思之)도 비슷하다. 서로 이해하고 용서하며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리고 존중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