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9

[#243]논어 제12편 안연 19장: 계강자문정어공자왈 여살무도 안연 19장季康子問政於孔子曰 “如殺無道, 以就有道, 何如?”  계강자문정어공자왈     여살무도   이취유도   하여孔子對曰 “子爲政, 焉用殺? 子欲善而民善矣. 공자대왈    자위정   언용살    자욕선이민선의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 必偃.”군자지덕풍   소인지덕초    초상지풍   필언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서 물었다. "만일 무도한 자를 죽여서 올바른 도리로 나아가게 한다면 어떻겠습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선생께서는 정치를 하는데 어찌 죽이는 방법을 쓰시겠습니까? 선생께서 선해지고자 하면 백성들도 선해지는 것입니다. 군자의 덕은 바람이고 소인의 덕은 풀입니다. 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기 마련입니다."* 季康子(계강자): (?~B.C.468). 중국 춘추 시대 노.. 2024. 6. 1.
[#242]논어 제12편 안연 18장: 계강자환도 문어공자 공자대왈 안연 18장季康子患盜, 問於孔子, 계강자환도   문어공자孔子對曰 “苟子之不欲, 雖賞之, 不竊.”공자대왈    구자지불욕   수상지   부절계강자가 도둑이 많은 것을 걱정하여 공자에게  조언을 구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선생께서 욕심을 가지지 않으시면, 비록 상을 준다 하더라도 백성들은 도둑질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季康子(계강자): (?~B.C.468).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정치가. 계손사(季孫斯)의 아들로 계손비(季孫肥)로도 불린다. 노나라 군주인 애공 때의 대부로 국정을 맡아 다스렸고 오나라와 제나라의 위협으로부터 지켜 냈으나 노나라 말기에 강력한 삼환 씨 축출로 실권하게 된다. 나중에 공자(孔子)를 맞아 위(衛) 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오게 했지만 등용하지는 않았다. 공자는 오만.. 2024. 5. 31.
[#241]논어 제12편 안연 17장: 계강자문정어공자 공자대왈 안연 17장季康子問政於孔子, 孔子對曰 계강자문정어공자   공자대왈“政者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정자정야    자솔이정   숙감부정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정치란 바르게 한다[正]는 것입니다. 선생께서 바른 도리로써 이끌어 주신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은 일을 하겠습니까?"* 季康子(계강자): (?~B.C.468).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정치가. 계손사(季孫斯)의 아들로 계손비(季孫肥)로도 불린다. 노나라의 국정을 맡아 다스렸고 오나라와 제나라의 위협으로부터 지켜 냈다. 나중에 공자(孔子)를 맞아 위(衛) 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오게 했지만 등용하지는 못했다. 공자는 계강자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 子帥以正(자솔이정): 당신이 바름으로써 이끌다. - 子(자): 당.. 2024. 5. 30.
[#240]논어 제12편 안연 16장: 자왈 군자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안연 16장子曰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反是.”자왈    군자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소인반시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남의 좋은 점을 이룩하도록 해주고 남의 나쁜 점은 이루어 주지 않지만,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小人反是(소인반시): 소인이 이에 반하다. 논어집주 해석‘成(성)’은 이끌어 주고 권장하여 그 일을 이루는 것이다. 군자와 소인은 마음에 둔 것이 이미 厚薄(후박)의 차이가 있고, 좋아하는 것이 또 선악의 다름이 있다. 그러므로 그 마음씀의 같지 않음이 이와 같은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안연편 16장 (논어집주, 성백효)성인지미(成人之美)란 다른 사람의 훌륭하고 아름다운 점을 도와주어 더욱 빛나게 해 준다는 말이다. 군자는 남의 좋은 점을 도와 이루게 하고 남의 나쁜 점.. 2024.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