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9

[#269]논어 제13편 자로 21장: 자왈 부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 자로 21장子曰 “不得中行而與之, 必也狂狷乎! 자왈    부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호狂者進取, 狷者有所不爲也.”광자진취   견자유소불위야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도(中道)를 실천하는 사람과 함께 할 수 없다면, 반드시 꿈이 큰 사람이나 고집스러운 사람과 함께 하리라! 꿈이 큰 사람은 진취적이고, 고집스런 사람은 하지 않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不得中行而與之(부득중행이여지):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사람을 얻어서 사귀지 않다. -  中行(중행): 원래 '중도로 가다, 중용으로 행하다'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그렇게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  與(여): 함께하다, 사귀다. -  之(지): 中行(중행)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 必也狂狷乎(필야광견호): (내가 얻어서 사귈 사람은) 반드시 열광적인 사람과 고지식.. 2024. 6. 27.
[#268]논어 제13편 자로 20장: 자공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 자로 20장子貢問曰 “何如斯可謂之士矣?” 자공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자왈    행기유치   사어사방   불욕군명   가위사의曰 “敢問其次.” 왈    감문기차曰 “宗族稱孝焉, 鄕黨稱弟焉.” 왈    종족칭효언   향당칭제언曰 “敢問其次.” 왈    감문기차曰 “言必信, 行必果, 왈    언필신   행필과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갱갱연소인재   억역가이위차의曰 “今之從政者何如?” 왈    금지종정자하여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자왈    희   두소지인   하족산야자공이 여쭈었다. "어떤 사람을 선비라고 할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도 임금의 명을 욕되게 .. 2024. 6. 26.
[#267]논어 제13편 자로 19장: 번지문인 자왈 거처공 집사경 자로 19장 樊遲問仁, 번지문인子曰 “居處恭, 執事敬, 與人忠. 자왈    거처공   집사경   여인충雖之夷狄, 不可棄也.”수지이적    불가기야번지가 인(仁)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평소에 지낼 때는 공손하고, 일을 할 때는 경건하며, 남과 어울릴 때는 진심으로 대해야 하는 것이니, 비록 오랑캐의 땅에 가더라도 이를 버려서는 안 된다."* 居處恭(거처공): 평상시에 일상생활을 하는 것이 공손하다. - 居處(거처): 일상적으로 생활하다. 居(거)와 處(처)가 둘 다 집안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상생활을 한다는 뜻인데 居(거)는 여기서 파생하여 '평상시'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與人忠(여인충): 다른 사람을 대하는 것이 충후하다. - 與(여): 대하다, ~에 대하여, ~에게.* 夷狄.. 2024. 6. 25.
[#266]논어 제13편 자로 18장: 섭공어공자왈 오당유직궁자 자로 18장葉公語孔子曰 “吾黨有直躬者, 其父攘羊, 而子證之.” 섭공어공자왈     오당유직궁자   기부양양   이자증지孔子曰 “吾黨之直者, 異於是. 공자왈    오당지직자   이어시父爲子隱, 子爲父隱, 直在其中矣.”부위자은   자위부은   직재기중의섭공이 공자에게 말하였다. "우리 마을에는 몸가짐이 정직한 사람이 있는데, 그의 아버지가 양을 훔치자 아들이 그 일을 증언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우리 마을의 정직한 사람은 그와 다릅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위해서 숨겨 주고 아들은 아버지를 위해서 숨겨 주지만, 정직함을 바로 그러는 가운데 있습니다."* 吾黨有直躬者(오당유직궁자): 우리 마을에 곧은 몸을 가진 사람이 있다. - 黨(당): 500 가구가 사는 마을. - 躬(몸 궁): 몸, 신체, 자기,.. 2024.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