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2

[#381]논어 제17편 양화 1장: 양화욕견공자 공자불견 양화편 1장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양화욕견공자    공자불견   귀공자돈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 遇諸塗. 공자시기무야    이왕배지   우저도謂孔子曰 “來! 予與爾言.” 위공자왈    래   여여이언曰 “懷其寶而迷其邦, 可謂仁乎?” 왈    회기보이미기방    가위인호曰 “不可.” “好從事而亟失時, 可謂知乎?” 왈   불가     호종사이기실시    가위지호曰 “不可.” “日月逝矣, 歲不我與.” 왈    불가      일월서의   세불아여孔子曰 “諾. 吾將仕矣.”공자왈    낙   오장사의양화가 공자를 뵙고자 하였으나 공자께서 만나 주시지 않자, 공자께 삶은 돼지를 선물로 보냈다. 공자께서는 그가 없는 때를 타서 사례하러 가시다가 길에서 그와 마주치셨다. 양화가 공자에게 말했다. "어서 오십.. 2024. 10. 17.
[#380]논어 제16편 계씨 14장: 방군지처 군칭지왈부인 계씨편 14장邦君之妻, 君稱之曰夫人, 방군지처    군칭지왈부인夫人自稱曰小童, 邦人稱之曰君夫人, 부인자칭왈소동    방인칭지왈군부인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 亦曰君夫人.칭저이방일과소군     이방인칭지    역왈군부인나라 임금의 아내를, 임금이 부를 때는 부인(夫人)이라 하고, 부인이 스스로 부를 때는 소동(小童)이라 하며, 그 나라의 사람들이 부를 때는 군부인(君夫人)이라 하고,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이야기할 때는 과소군(寡小君)이라 하며, 다른 나라 사람들이 부를 때도 또한 군부인이라 한다.* 邦君(방군): 나라의 임금. * 稱諸異邦(칭저이방): 다른 나라 사람에게 그녀를 지칭하다.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자기 나라 임금의 아내를 이야기할 때. - 稱(일컬을 칭): 일컫다. 부르다. 칭찬하다.- 諸.. 2024. 10. 16.
[#379]논어 제16편 계씨 13장: 진강(진항)문어백어왈 계씨편 13장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진강문어백어왈    자역유이문호對曰 “未也. 嘗獨立, 鯉趨而過庭. 대왈    미야   상독립   리추이과정曰 ‘學詩乎?’ 對曰 ‘未也.’ 왈   학시호    대왈   미야‘不學詩, 無以言.’ 鯉退而學詩. 불학시   무이언    리퇴이학시他日, 又獨立, 鯉趨而過庭, 타일   우독립   리추이과정曰  ‘學禮乎?’ 對曰 ‘未也.’ 왈   학례호     대왈   미야‘不學禮, 無以立.’ 鯉退而學禮. 聞斯二者.”불학례   무이립    리퇴이학례    문사이자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진강퇴이희왈     문일득삼聞詩, 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문시   문례   우문군자지원기자야진강(진항)이 백어에게 물었다. "당신은 특별한 가르침을 들은 것이 있습니까?" 백어가 대답하였.. 2024. 10. 15.
[#378]논어 제16편 계씨 12장: 제경공유마천사 사지일 계씨편 12장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 民無德而稱焉. 제경공유마천사    사지일   민무덕이칭언伯夷·叔齊餓於首陽之下, 民到于今稱之. 백이 숙제아어수양지하     민도우금칭지其斯之謂與? 기사지위여제나라 경공은 말을 사천 필이나 가지고 있었지만, 그가 죽는 날에는 백성들 중에 그의 덕에 대해 칭찬하는 사람이 없었다.백이와 숙제는 수양산 아래서 굶어 죽었지만,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그들을 칭송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인가?* 齊景公(제경공): 제나라의 26대 군주. 성은 강(姜), 이름은 저구(杵臼). 욕심 많고 우유부단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신하인 안영이 살아있을 때에는 안영의 말을 들음으로써 나라를 잘 다스렸지만 그가 죽은 후에는 나라가 혼란해진다. 제나라를 흥하게 한 군주이기도 하지만 결.. 2024. 10.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