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7

[#346]논어 제15편 위령공 21장: 자왈 군자긍이부쟁 군이부당 위령공 21장子曰 “君子矜而不爭, 群而不黨.” 자왈    군자긍이부정   군이부당공자게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자긍심을 지니지만 다투지는 않고, 여럿이 어울리지만 편당을 가르지는 않는다."- 矜(자랑할 긍, 창 자루 근, 앓을 관): 자랑하다, 자긍심을 가지다. 불쌍히 여기다.  * 群而不黨(군이부당): 여러 사람이 어울리되 파당을 짓지 않다. - 群(무리 군): 무리를 이루다, 여럿이 어울리다. 단순히 여러 사람이 모인다는 뜻으로 감정적 색채가 없는 중립적인 말이다. - 黨(무리 당, 성씨 장): 편당을 이루다, 파벌을 이루다.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당을 이루어 집단행동을 한다는 뜻으로 부정적인 색채가 강한 말이다. # 논어집주 해석  “君子는 씩씩하되 다투지 않고, 무리짓되 편당하지 않는다.. 2024. 9. 12.
[#345]논어 제15편 위령공 20장: 자왈 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 위령공 20장子曰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자왈    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공자께서 말씀하셨다."군자는 일의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君子求諸己(군자구저기): 군자가 자기에게서 (잘못을) 찾다. • 諸(저): 之於(지어)와 같으며 之(지)는 일반적인 요구 사항을 가리킨다. # 논어집주 해석  “君子는 자신에게서 찾고, 小人은 남에게서 찾는다.” 사 씨(謝良佐(사양좌))가 말하였다. “군자는 자기 몸에 돌이켜 찾지 않음이 없고, 소인은 이와 반대이니, 이는 군자와 소인이 분별되는 이유이다.” 양 씨(楊時(양시))가 말하였다. “군자는 비록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병으로 여기지 않으나 또한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싫어하며, 비록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 2024. 9. 11.
[#344]논어 제15편 위령공 19장: 자왈 군자 질몰세이명불칭언 위령공 19장子曰 “君子, 疾沒世而名不稱焉”자왈    군자   질몰세이명불칭언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죽은 뒤에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을까를 근심한다."- 疾(병 질): 병, 질명. 괴로움, 아픔. 흠, 결점. 미워하다, 원망하다, 근심하다, 고민하다. * 沒世(몰세): 세상을 떠나다, 죽다.- 沒(빠질 몰, 어두울 매, 어찌 마): (물에) 빠지다, 가라앉다. 잠수하다(潛水--), 무자맥질하다(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다). * 名不稱(명불칭):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다. 이름이 나지 않다. - 稱(일컬을 칭): 일컫다, 부르다, 칭찬하다. # 논어집주 해석   “君子는 沒世(終身)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싫어한다.” 범 씨(范祖禹(범조우))가 말하였다. “군자는 학문을 하여 자신.. 2024. 9. 10.
[#343]논어 제15편 위령공 18장: 자왈 군자병무능언 불병인지 위령공 18장子曰 “君子, 病無能焉, 不病人之不己知也.”자왈    군자   병무능언   불병인지불기지야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군자는 자신의 무능함을 근심하지,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않는다."- 病(병 병): 괴로워하다, 근심하다, 고민하다, 부끄러워 하다, 병통으로 여기다.   # 논어집주 해석  “君子는 자신의 無能함을 병으로 여기고,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병으로 여기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18장 (논어집주, 성백효)군자는 자기가 능력이 없음을 걱정하지, 다른 사람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않는다. 군자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남이 알아줄 만할 정도로 뛰어난 인성과 능력을 지닌다면 잘난 척하여 굳이 힘들게 나 자.. 2024.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