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0

[#286]논어 제14편 헌문 8장: 자왈 애지 능물로호 충언 헌문 8장子曰 “愛之, 能勿勞乎? 자왈    애지   능물로호忠焉, 能勿誨乎?”충언   능물회호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를 사랑하면서, 수고롭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를 진심으로 대하면서, 깨우쳐 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 忠焉, 能勿誨乎(충언, 능물회호): 충성스러우면서 (올바른 길을) 가르쳐주지 않을 수 있는가. - 焉(언): 於是(어시)와 같다.- 能勿(능물): 어찌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마음이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 勿(물): 不(불)과 같다.- 誨(가르칠 회)논어집주 해석 소 씨(蘇軾(소식))가 말하였다. “사랑하기만 하고 수고롭게 하지 않는 것은 짐승들의 사랑이요, 충성하기만 하고 가르쳐 주지 않는 것은 부인과 내사(내시)들의 충성이니, 사랑하면서도 수고롭게 할 .. 2024. 7. 14.
[#285]논어 제14편 헌문 7장: 자왈 군자이불인자유의부 헌문 7장子曰 “君子而不仁者有矣夫, 자왈    군자이불인자유의부未有小人而仁者也.”미유소인이인자야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로서 인(仁)하지 못한 사람은 있어도, 소인으로서 인한 사람은 없다."* 君子而不仁者有矣夫(군자이불인자유의부): 군자이면서 어질지 못한 사람은 있으리라. 강조 효과를 위하여 동사 有(유)와 목적어 君子而不仁者(군자이불인자)를 도치시킨 형태이다. - 矣夫(의부): ~도다, ~하리라, ~일진저. 감탄의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로 추측의 어기도 다소 내포한다. 논어집주 해석사 씨(謝良佐(사양좌))가 말하였다. “군자는 인에 뜻을 둔다. 그러나 잠깐 사이에 마음이 인에 있지 않으면 不仁(불인)이 됨을 면치 못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헌문편 7장 (논어집주, 성백효)군자는 덕이 있는 사람,.. 2024. 7. 13.
[#284]논어 제14편 헌문 6장: 남궁괄문어공자왈 예선사 헌문 6장南宮适問於孔子曰 남궁괄문어공자왈“羿善射, 奡盪舟, 俱不得其死. 예선사   오탕주   구부득기사然禹稷躬稼, 而有天下." 연우직궁가   이유천하夫子不答. 부자부답南宮适出, 子曰 "君子哉, 若人! 남궁괄출   자왈    군자재   약인尙德哉, 若人!”상덕재   약인남궁괄이 공자에게 여쭈었다. "예는 활을 잘 쏘았고 오는 배를 끌고 다닐 만큼 힘이 셌지만, 모두 제 명에 죽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우임금과 직은 몸소 농사를 지었는데도, 천하를 차지하였습니다." 공자께서 대답하지 않으셨다. 남궁괄이 밖으로 나가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로구나, 그 사람은! 덕을 숭상하는구나, 그 사람은!"* 南宮 适(남궁 괄):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 자는 자용(子容). 또 다른 이름은 남궁경숙(南宮敬叔)인데.. 2024. 7. 12.
[#283]논어 제14편 헌문 5장: 유덕자필유언 유언자불필유덕 헌문 5장子曰 “有德者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자왈   유덕자필유언   유언자불필유덕仁者必有勇, 勇者不必有仁.”인자필유용   용자불필유인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덕(德)이 있는 사람은 바른말을 하지만, 바른 말을 하는 사람이라고 반드시 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인(仁)한 사람은 반드시 용기를 가지고 있지만, 용감한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인한 것은 아니다."* 有德者必有言(유덕자필유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바른 말을 한다.* 有言者不必有德(유언자불필유덕): 말을 잘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가 하는  말만큼 수양이 되어 있지 않다는 뜻. 공자가 덕(德)과 인(仁)을 설명할 때 사용한 말씀. 말하기 위한 말은 참말이 되지 못하고 용기를 위한 용기는 참 용기가 아니라는 뜻으로 플이 된다.- 必~ :  강한 긍.. 2024.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