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야장편 8장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자위자공왈 여여회야숙유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대왈 사야하감망회 회야문일이지십 사야문일이지이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자왈 불여야 오여여불여야
공자께서 자공에게 말씀하셨다.
"너와 회 중에 누가 더 나으냐?"
자공이 대답하였다.
"제가 어찌 감히 회와 견주기를 바라겠습니까? 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지만,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뿐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보다 못하리라. 나와 네가 모두 그보다 못하리라."
* 女與回也孰愈(여여회야숙유): 너와 회 가운데 누가 더 나은가.
- 女(여): 너. 汝(여)와 같다.
- 回(회): 안회(顔回).
- 孰(누구 숙/익을 숙): 누구. 주어진 범위 내에서 선택하게 하는 의문문에 사용하는 의문대사.
- 愈(나을 유, 구차할 투)
* 賜(줄 사): 자공(子貢)이 자신의 이름을 일인칭대사 대신 사용한 것.
* 回也聞一以知十(회야문일이지십): 회가 하나를 들으면 (그것으로써) 열을 알다.
- 聞一以(문일이): 以聞一(이문일)이 도치된 것.
* 吾與女弗如也(오여여불여야): 나와 너는 (그만) 못하다.
- 女(여): 너. 汝(여)와 같다.
- 弗如(불여): 다음에 목적어가 생략되었다.
- 也(야): 판단 또는 진술의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子貢에게 이르시기를 “너는 顔回와 더불어 누가 나으냐?” 하셨다.
대답하기를 “제가 어찌 감히 顔回를 바라겠습니까. 顔回는 하나(一)를 들으면 (듣고서) 열(十)을 알고, 저는 하나(一)를 들으면 둘(二)을 압니다.” 하였다.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네가 顔回만 못하다. 나는 네가 그만 못하다 함을 허여(인정)한다.”
‘愈(유)’는 나음이다.
‘一(일)’은 數(수)의 시작이고 ‘十(십)’은 수의 끝이다. ‘二(이)’는 일의 상대이다. 안자는 밝은 지혜가 비추는 바에 시작에 나아가면 끝을 알았고, 자공은 추측하여 알아서 이것을 인하여 저것을 알았다. 〈先進(선진)〉에 공자께서 “나의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것이 없다.〔無所不說(무소부설)〕”고 안자를 칭찬한 것과 〈學而(학이)〉에 “지나간 것을 말해주자 말하지 않은 것을 안다.〔告往知來(고왕지래)〕”고 자공을 칭찬한 것이 그 증거이다.
‘與(여)’는 허여함이다.
호 씨(胡寅(호인))가 말하였다. “〈憲問(헌문)〉편에 자공이 사람들을 비교하자, 夫子(부자)께서 ‘나는 그럴 겨를이 없다.’ 하셨으며, 또 ‘너는 안회와 누가 나으냐?’고 물어 그가 자기 자신을 앎이 어떠한가를 살펴보신 것이다. ‘聞一知十(문일지십)’은 上智(상지)의 자질이니 태어나면서부터 아는〔生而知之(생이지지)〕 이(聖人(성인))의 다음이요, ‘聞一知二(문일지이)’는 中人(중인) 이상의 자질이니 배워서 아는〔學而知之(학이지지)〕 재주이다. 자공이 평소 자신을 안회에 견주어 바라고 미칠 수 없음을 보았으므로 비유하기를 이와 같이 한 것이다. 夫子(부자)는 자공이 자신을 앎이 분명하고 또 자신을 굽히는 것을 어렵게 여기지 않았으므로 그 말을 옳게 여기시고 또 거듭 허여하신 것이다. 〈자공은〉 이 때문에 끝내 性(성)과 天道(천도)를 들었고, 단지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뿐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야장편 8장 (논어집주, 성백효)
자공(子貢)은 위나라 출신으로 공자보다 31세 연하인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공자가 아끼는 제자이다.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이며 자공은 자(字)이다. 집안이 부유하였고 장사와 외교에 능하며 언변에도 뛰어나 위나라와 노나라의 재상을 지냈다. 공자 문하의 번영을 이끈 재산가로 공자를 경제적으로 많이 도와주었다.
안회(顔回)는 노나라 출신으로 공자보다 30살 연하이나 공자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공자가 가장 아끼고 신임했던 제자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자는 안연(顔淵) 또는 안 자연(顔子淵)으로 부른다. 집안이 빈천하였으나 부에 연연하지 않았고 오로지 학문의 수양에만 힘썼다.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문일지십(聞一知十)의 고사성어가 여기서 유래하였다. 학덕이 높고 재질이 뛰어난 매우 총명한 인물로 전한다. 안회가 사망했을 당시 공자는 하늘이 자기를 버린다고 할 만큼 애석해하고 통곡을 하였다고 한다. 공자 다음가는 성인으로 받들어져 안자(顔子)라고 높여 부르기도 한다.
자공과 안회 중에 누가 더 우수하냐는 공자의 질문에 자공은 당연히 문일지십인 안회가 본인보다 낫다고 하였다. 아마도 자공이 학문보다는 출세 및 재산을 불리는 일에 더욱더 집중하니 던지신 질문으로 보인다. 자공의 대답에 공자는 자공뿐만 아니라 자신도 안연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사람이라고 하셨다. 그만큼 공자는 안연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고 실제로 제자들 앞에서 자주 칭찬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