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편 14장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자왈 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可謂好學也已.”
가위호학야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는 것에 대해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거처하는 데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또한 일하는 데 민첩하고 말하는 데는 신중하며, 도의를 아는 사람에게 나아가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는다.
이런 사람이라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할 만하다."
* 食無求飽(식무구포): 식사에 있어서 배부르기를 추구하지 않다.
- 無(무): 不(불)과 같다.
- 飽(배부를 포): 배부르다. 속이 꽉 차다. 옹골차다, (내용이) 충실하다.
* 敏於事而愼於言(민어사이신어언): 일에 민첩하면서 말에 신중하다.
- 敏(민첩할 민): 민첩하다.
- 愼(삼가할 신): 신중하다. 삼가다. 조심하다.
* 就有道而正焉(취유도이정언): 도덕이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바로잡다.
- 焉(언): 삼인칭대사로 之(지)와 같으며 일반적인 잘못을 가리킨다.
* 可謂好學也已(가위호학야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할 수 있다.
- 也已(야이): 단정적인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 也(야)와 已(이)가 모두 단정적인 어기를 표시하지만 이 둘을 연용함으로써 더욱 단정적인 어기를 표시할 수 있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가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에 민첩하고 말에 삼가며, 道가 있는 이에게 찾아가서 〈옳고 그름을〉 질정한다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편안함과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 것은 뜻이 다른 데(도에) 있어서 미칠 겨를이 없는 것이다. ‘일에 민첩하다〔敏於事(민어사)〕’는 것은 부족한 것(덕행)을 힘쓰는 것이요, ‘말에 삼간다〔謹於言(근어언)〕’는 것은 有餘(유여)한 것(말)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스스로 옳다고 여기지 않고, 반드시 도가 있는 사람에게 찾아가서 그 옳고 그름을 質正(질정)한다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무릇 ‘도’라고 말한 것은 모두 사물의 당연한 이치이니, 사람이 누구나 함께 행하여야 할 것(도리)을 말한다.
윤 씨(尹焞(윤돈))가 말하였다. “군자의 배움이 이 네 가지에 능하다면 뜻이 독실하고 행실을 힘쓰는 자라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도가 있는 자에게 질정을 취하지 않는다면 어그러짐이 있음을 면치 못한다. 예컨대 양주와 묵적이 인과 의를 배우다가 잘못된 자이나 그 흐름의 폐단이 無父(무부)와 無君(무군)에 이르렀으니, 배움을 좋아했다고 말하는 것이 可(가)하겠는가.”
[네이버 지식백과] 학이편 14장 (논어집주, 성백효)
군자가 되려고 공부하는 사람은 의식주를 검소하게 하고 일을 함에 있어서는 민첩하게 해야 한다. 또 말을 신중하게 하고 도리를 잘 아는 사람을 찾아가 옳고 그름을 바로 잡는다면 이런 사람은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공자가 군자의 학문하는 자세를 말하고 있다.
배움에 몰입하다 보면 배부름이나 거처의 안위를 걱정하지 않는다. 배울 시간이 부족하여 일을 민첩하게 처리하고 아직은 배우는 것이 충분치 않기에 말도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한다. 말보다 행동이 앞서야 한다. 또한 자신의 부족한 학문을 위해 스승을 찾아 배움을 요청한다. 이런 자세야말로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태도인 것이다.
호학(好學)은 배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을 말하며 책을 많이 읽고 지식을 축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인성을 갖추어야만이 호학한다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모든 일상이 공부의 과정이라고 하였다. 부족한 덕행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아실현의 추구를 위하여 항상 배움의 자세를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