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필사

[#439]논어 제19편 자장 22장: 위공손조문어자공왈 중니언학

by 스머프# 2024. 12. 14.
반응형

자장편 22장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위공손조문어자공왈      중니언학
子貢曰 “ 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자공왈     문무지도   미추어지   재인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현자식기대자     불현자식기소자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막불유문무지도언     부자언불학     이역하상사지유

위나라의 공손조가 자공에게 물었다. "중니(공자)는 어디에서 배웠나요?"
자공이 말하였다. "문왕과 무왕의 도(道)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고 사람들에게 남아 있습니다.
현명한 자는 그중에서 큰 것을 기억하고 현명하지 못한 자는 그중 작은 것을 기억하고 있으니, 문왕과 무왕의 도는 없는 데가 없습니다.
그러니 선생님께서 어디에선들 배우지 않으신 데가 있으시겠습니까? 또한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으시겠습니까?"


* 公孫朝(공손조): 위나라의 대부. 노나라와 초나라에도 공손조가 있었기 때문에 衛公孫朝(위공손조)라고 했다.

* 仲尼焉學(중니언학): 중니가 어디서 배우는가.
- 仲尼(중니): 공자의 자.
- 尼(여승 니(이), 말릴 닐(일)): 여승. 화평하다.
- 焉(언): 어디. 장소를 묻는 의문대사.

- 墜(떨어질 추): 떨어지다, 낙하하다. 떨어뜨리다. 부수다, 무너뜨리다.

* 焉不學(언불학): 어디서 안 배우겠는가. 어디서든 다 배운다는 뜻.

* 常師之有(상사지유): 강조 효과를 위하여 목적어를 동사 앞으로 끄집어내고 그 사이에 구조조사 之(지)를 넣은 것.

논어 제19편 자장 22장

# 논어집주 해석

衛나라 公孫朝가 子貢에게 물었다. “仲尼는 어디에서 배웠는가?”
子貢이 말하였다. “文王 · 武王의 道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아 사람들에게 남아 있다. 賢者는 그 큰 것을 기억하고 不賢者(어질지 못한 자)는 작은 것을 기억하고 있어서 文王 · 武王의 道가 있지 않음이 없으니, 夫子께서 어디선들 배우지 않으시며 또한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으시겠는가.”

공손조는 위나라 대부이다.

‘文武(문무)의 道(도)’는 문왕 · 무왕의 교훈과 功烈(공렬), 그리고 모든 주나라의 예악과 문장이 모두 이것이다. 사람에게 있다는 것은 사람들 중에 이것을 기억하는 자가 있음을 말한다. ‘識(지)’는 기억함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장편 22장 (논어집주, 성백효)

[#439]논어 제19편 자장 22장: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공자는 일정한 스승 없이 문왕과 무왕의 도를 기억하고 있는 이가 있다면 그가 누구라도 그 분야의 최고의 스승을 찾아가서 배웠다. 예(禮)는 노자에게, 음악은 장홍에게, 거문고는 사양에게 가서 배웠다. 위공손조는 그런 공자를 빗대어 스승이 누구냐고 물은 것이다. 이에 자공은 공자의 학문하는 방식과 배우는 태도에 대하여 답해 주었다.


자공이 위나라의 대부로 있을 때 위나라 대부인 공손조가 공자의 스승은 누구냐고 자공에게 물었다. 공자의 제자가 엄청난데 그런 공자는 누구에게 가르침을 받았는가?

공자가 살던 시대에는 주나라의 도(道)가 쇠퇴해가고 있었기 때문에 존경하던 주공의 도를 부흥시키기 위해서 평생을 노력한 사람이다. 따라서 공자는 문왕이나 무왕의 도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라도 찾아가서 그 도를 배우고자 하였다. 배움에 호기심이 왕성했던 공자는 각 분야에서 전문인 사람을 찾아가 배움을 요청했다. 따라서 일정한 스승(常師)이 없었던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