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필사

[#373]논어 제16편 계씨 7장: 공자왈 군자유삼계 소지시

by 스머프# 2024. 10. 9.
반응형

계씨편 7장

孔子曰 “君子有三戒. 
공자왈    군자유삼계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소지시   혈기미정   계지재색
及其壯也, 血氣方剛, 戒之在鬪. 
급기장야    혈기방강   계지재투
及其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
급기로야   혈기기쇠    계지재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경계해야 할 일이 있다.
젊을 때는 혈기가 안정되지 않으므로 정욕(情慾)을 경계해야 한다.
장년이 되어서는 혈기가 막 왕성해지므로 다툼을 경계해야 한다.
노년이 되어서는 혈기가 이미 쇠약해졌으므로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


* 戒之在色(계지재색): 경계할 것이 여색에 있다. 여색을 경계해야 한다. 
- 色(빛 색): 여색(女色), 정욕(情慾), 성욕.
- 之(지): 일반적인 사실·사물·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 及其壯也(급기장야): 그가 장성함에 이르러서는.
- 也(야):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

* 方剛(방강): 막 강성하다, 바야흐로 왕성하다. 

- 鬪(싸울 투): (두 병사가 손에 병기를 들고) 싸우다, 싸우게 하다, 승패를 겨루다.
- 旣(이미 기, 쌀 희): 이미, 벌써, 이전에. 원래, 처음부터.
- 衰(쇠할 쇠, 상복 최, 도롱이 사): 쇠하다, 쇠퇴하다. 늙다, 노쇠하다. 
- 戒(경계할 계): 경계하다, 막아 지키다. 타이르다, 알리다. 조심하고 주의하다, 삼가다.
- 得(얻을 득, 득 득): 얻다, 손에 넣다. 소유욕, 탐욕.

논어 제16편 계씨 7장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에게 세 가지 경계함이 있으니, 젊을 때엔 血氣가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경계함이 女色에 있고, 장성해서는 血氣가 한창 강하므로 경계함이 싸움에 있고, 늙어서는 血氣가 쇠하였으므로 경계함이 얻음에 있다.”

‘血氣(혈기)’는 형체가 기다려서(의지해서) 살아가는 것이니, 혈은 음이고 기는 양이다. ‘得(득)’은 얻기를 탐하는 것이다. 때에 따라 경계할 줄 알아서 이치로써 〈혈기를〉 이기면 혈기에게 부림을 당하지 않을 것이다.

범 씨(范祖禹(범조우))가 말하였다. “성인이 사람들(일반인)과 같은 것은 혈기이고 사람들과 다른 것은 志氣(지기)이니, 혈기는 때에 따라 쇠함이 있으나 지기는 때에 따라 쇠함이 없다. 젊을 때엔 정해지지 않고 장성해서는 강하고 늙어서는 쇠하는 것은 혈기이며, 여색을 경계하고 싸움을 경계하고 얻음을 경계하는 것은 지기이다. 군자는 지기를 기르므로 혈기에 동요당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나이가 높을수록 덕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계씨편 7장 (논어집주, 성백효)

[#373]논어 제16편 계씨 7장: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사람이 살면서 경계해야할 일이 있는데  젊을 때는 혈기가 왕성하기는 하나 아직 안정되지 못하므로 특히 이성을 밝히는 색욕을 주의해야 한다. 장년이 되었을 때는 혈기가 한창 강성하므로 불화나 갈등 등으로 인한 타인과의 싸움을 경계해야 한다. 그리고 노년이 되면 혈기가 약해지는 대신 명예욕이나 권력, 또는 재력에 욕심을 내게 되므로 이런 노욕(老慾)을 버려야 한다. 공자는 지나친 성욕, 무분별한 투쟁심, 탐욕스러운 마음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계하였다. 

육체와 정신이 완전하지 않을 때 혈기를 소모하는 성욕이 지나치면 사고를 유발하고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절제를 할 줄 알아야 한다. 혈기가 안정되었을 때는 자신감이 넘쳐 무서운 것 없이 들이대는 일이 많아지므로 잘못하다가는 불행의 늪에 빠져 허우적댈 수가 있다. 

노년이 되면 힘이 없어지므로 가진 것을 놓지 않으려는 탐욕에 빠져 점점 인색해진다. 자기만의 생각으로 고집스러워져 안하무인이 되어 고약한 노인네가 될 수 있다. 추한 모습을 경계하고 관대한 마음으로 주위를 포용하고 베푸는 사람이 되어야 인정받는다.  

그때그때 최선을 다하는 삶!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미래를 위해 착실하게 준비하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마음을 비우고, 겸손하고, 너그럽고... 그래서 아름다운 사람이 되어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