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 33장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자왈 군자불가소지 이가대수야
小人不可大受, 而可小知也.”
소인불가대수 이가소지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작은 일은 잘 못해도 큰일은 맡아 할 수 있고, 소인은 큰일은 감당 못해도 작은 일은 잘할 수 있다."
* 不可小知(불가소지): 특정 분야에 국한된 전문적인 하나의 기술만으로는 학문을 넓고 깊게 제대로 배운 사람의 능력을 알아볼 수 없다는 말.
- 小知(소지): 작게 알다. 아는 것이 자질구레하고 쩨쩨함을 말한다. 知를 '맡아서 관장하다'라는 뜻으로 보아, 작은 일을 맡아서 관장한다는 의미로 풀이해야 다음의 대수(大受)와 맥락이 맞는다. 단순히 '작은 일을 알다'로 풀이할 수도 있다. 왕숙과 주희는 '작은 일을 가지고 그의 능력을 안다'는 의미로 풀이하기도 하지만 무리가 있다.
* 大受(대수): 크게 수임하다. 큰일을 맡음을 말한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작은 것으로 알 수는 없으나 큰 것을 받을 수 있고, 小人은 큰 것을 받을 수는 없으나 작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사람을 관찰하는 방법을 말씀하신 것이다. ‘知(지)’는 내가 아는 것이요, ‘受(수)’는 저(상대방)가 받는 것이다. 군자는 작은 일에 있어 반드시 볼 만하지는 못하나 재질과 덕이 충분히 중임을 맡을 만하고, 소인은 비록 器局(기국)과 度量(도량)이 얕고 좁으나 반드시 한 가지 장점도 취할 만한 것이 없지는 않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33장 (논어집주, 성백효)
군자는 작은 일은 못해도 되지만 큰 임무를 맡을 수 있다. 소인은 맡은 일이 크면 제대로 못하지만 작은 세부적인 일은 잘한다. 즉 군자는 소인과 달라서 아는 것도 많아야 하고 하는 일도 중임을 맡아야 한다. 작은 일로써는 군자의 재능을 알 수 없고 큰일을 처리할 때 그가 군자임을 알 수 있다. 공자의 인재등용에 관한 말씀이다.
전문적인 하나의 기술만으로는 군자의 능력을 판단할 수 없고, 크고 중대한 일을 맡겼을 때에야 비로소 그의 능력을 알 수 있다. 반면 소인은 시야가 좁고 경륜이 없으므로 전문 기술 분야에서는 활약할 수 있지만 포괄적으로 전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 일에는 적당하지 않다. [소인은 전문가, 군자는 전문가를 지휘하는 사람?]
군자(리더)는 세부적인 작은 일은 못할지라도 통찰력이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큰 임무는 잘 처리한다. 작은 일은 그 밑의 사람들(소인)을 시키면 되기 때문에 넓게 보고 앞을 내다볼 줄 아는 안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람에 따라서 그들이 담고 있는 그릇의 크기가 각각 다르므로 적재적소에 맞게 인선해서 써야 한다.
군자가 될 것인가, 소인이 될 것인가? 세상에는 군자만 있을 수도 없고 소인만 있을 수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