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문 23장
子路問事君,
자로문사군
子曰 “勿欺也, 而犯之.”
자왈 물기야 이범지
자로가 임금 기는 데 대해서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속이지 말고, 임금의 앞에서 바른말을 하라."
- 勿(말 물, 털 몰): 말다, 말라, 말아라, 아니다, 없다.
- 欺(속일 기): 속이다, 업신여기다, 보기 흉하다.
- 犯(범할 범): 범하다, 침범하다, 저촉하다, (법을 ) 어기다. 범안간쟁(犯顔諫諍), 면전에서 바른 말을 하다.
논어집주 해석
‘犯(범)’은 군주의 안색을 범하여 간쟁함을 이른다.
범 씨(范祖禹(범조우))가 말하였다. “안색을 범하여 간쟁하는 것은 자로의 어려운 바가 아니요, 속이지 않음이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므로 夫子(부자)께서 속이지 말 것을 먼저 말씀하시고 간쟁하는 것을 뒤에 말씀하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헌문편 23장 (논어집주, 성백효)
자로가 임금을 섬기는 데 있어 신하가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묻자 속이지 말고 바른말을 하라고 대답하는 공자. 사람은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말일지라도 듣기 싫은 소리를 들으면 기분이 나빠진다. 그런데 감히 임금의 귀에 거슬리는 소리를 한다면 목숨을 내놓아야 할지도 모르나 그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군주가 좋아하는 말만 하고 군주가 싫어하는 말을 피하는 간신배들은 암군에게 듣기 좋은 소리만 해대지만 그것은 곧 군주를 속이는 것이다. 충신이라면 목숨을 버릴지라도 당당하게 옳은 말을 해야 한다. 그래야 나라와 백성을 건곤하게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다.
임금의 낯빛에 관계없이 바른말로써 간언하는 것을 범(犯, 범안(犯顔))이라 한다. 임금을 올바르게 섬긴다면 범안을 실천할 수 있을 만큼 용기와 지혜가 필요하다. 하지만 무턱대고 간할 것이 아니라 상황 판단을 제대로 하여 간곡하게 설득할 수 있는 현명함도 필요하다.
자로의 용맹함은 임금에게 범안을 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나 속이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했기에 공자는 일단은 속이지 말고(공자가 병상에 있을 때 가신을 두어서는 안 되는 상황에서 자로가 공자 몰래 가신을 두었던 일을 속임으로 생각했음) 그다음에 임금의 안색과 관계없이 간언하는 것이 충신임을 가르쳐 주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