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문 21장
子曰 “其言之不怍, 則爲之也難.”
자왈 기언지부작 즉위지야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의 말에 대해 부끄러움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것을 실천하기 어렵다."
* 其言之不怍(기언지부작): 자기가 어떤 사실을 말하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
- 其(기):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 之(지): 일반적인 사실·사물·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 怍(부끄러워할 작): 부끄러워하다, 빨개지다, (안색이) 변하다.
* 則爲之也難(즉위지야난): (그렇다면) 그것을 행하는 것이 어렵다.
- 之(지): 앞 문장의 之(지)와 동일한 사실을 가리킨다.
- 也(야):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
논어집주 해석
큰소리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면 반드시 실천하려는 뜻이 없어서 스스로 능하고 능하지 못함을 헤아리지 않은 것이니, 그 말을 실천하려고 하면 어찌 어렵지 않겠는가.
[네이버 지식백과] 헌문편 21장 (논어집주, 성백효)
말은 일단 해버리면 주워 담을 수 없다. 한 번 내뱉은 말은 실천을 해야 하는데 그것은 쉽지 않은 일이므로 반드시 신중하게 해야 한다. 자신이 한 말을 부끄러워해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는 말이다.
공자는 말이 많은 사람을 경계하였고 말 잘하는 사람을 싫어한다고 했다.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고 함부로 하는 이런 사람들은 진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실천력이 없기 때문이다.
주자는 큰 소리만 치고 부끄러워할 줄 모른다면 반드시 실천하겠다는 뜻이 없고, 그것을 할 수 있는지 헤아려 보지도 않는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했다. 마융은 속에 그 실질이 있는 사람은 말을 하는데 부끄러움이 없으며 그 실질을 쌓는 것이 어렵다고 풀었다.
자신의 말에 대해 부끄러워 한다면 조심하거나 고치려고 노력해야 한다. 입에서 나오는 말이라고 함부로 약속을 하거나 선언하고 나중에 내가 언제 그랬냐는듯한 무책임하고 뻔뻔스런 태도는 지양해야 하며 본인이 한 말은 반드시 지킬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호언장담 금지! 언행일치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