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한 23장
子曰 “法語之言, 能無從乎? 改之爲貴.
자왈 법어지언 능무종호 개지위귀
巽與之言, 能無說乎? 繹之爲貴.
손여지언 능무열호 역지위귀
說而不繹, 從而不改, 吾末如之何也已矣. ”
열이불역 종이불개 오말여지하야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올바른 말로 일러 주는 것을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제로 잘못을 고치는 것이다.
은근하게 타이르는 말에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참뜻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다.
기뻐하기만 하고 참뜻을 궁구하지 않거나, 따르기만 하고 실제로 잘못을 고치지 않는다면, 나도 그런 사람은 끝내 어찌할 수가 없다."
* 法語之言(법어지언) : 법어 같은 말.
- 法語(법어) : 귀감이 될 만한 훌륭한 말. 타인을 깨닫게 하기 위한 가르침의 말. 부처님의 말씀.
* 能無從乎(능무종호) : 따르지 않을 수 있는가.
- 無(무) : 不(불)과 같다.
* 改之爲貴(개지위귀) : (잘못이 있으면) 그것을 고치는 것이 귀중하다.
- 之(지) : 일반적인 사실·사물·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일반적인 잘못을 가리킨다.
- 爲(위) : ~이다. 뒤에 오는 형용사와 결합하여 '~하다'라는 뜻의 술어를 이룬다.
* 巽與(손여) : 완곡하고 공손한.
- 巽(손괘 손) : 부드럽다, 공순(恭順)하다
* 能無說乎(능무열호) : 좋아하지 않을 수 있는가.
- 說(기쁠 열) : 기뻐하다, 좋아하다.
* 吾末如之何也已矣(오말여지하야이의) : 내가 그를 어떻게 할 수가 없다.
- 末(말) : ~할 수가 없다, ~할 길이 없다. 무칭(無稱) 지시대사로 莫(막), 無(무)와 같다.
- 如(여)~何(하) : '~를 어떻게 하다'라는 뜻의 관용어.
- 也已矣(야이의) : 단정적인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예법에 맞는 바른말은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자신의〉 잘못을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 완곡하게 해주는 말은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실마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기뻐하기만 하고 실마리를 찾지 않으며, 따르기만 하고 잘못을 고치지 않는다면 내 그를 어찌할 수가 없다.”
‘法語(법어)’란 바르게 말해 주는 것이요, ‘巽言(손언)’이란 완곡하게 인도해 주는 것이다. ‘繹(역)’은 그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法言(법언)은 사람들이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바이므로 반드시 따른다. 그러나 잘못을 고치지 않는다면 외면으로만 따르는 것일 뿐이다. 손언은 마음에 어긋나거나 거슬리는 바가 없으므로 반드시 기뻐한다. 그러나 실마리를 찾지 않는다면 또 은미한 뜻의 소재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양 씨(楊時(양시))가 말하였다. “법언은 맹자께서 王道政治(왕도정치)를 시행할 것을 논한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요, 손언은 〈맹자께서〉 재물을 좋아하고 여색을 좋아함을 논한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말해주는데도 통달하지 못하거나 거절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오히려 괜찮지만, 혹 깨달았다면 거의 잘못을 고치고 또 실마리를 찾아 은미한 뜻을 알기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따르고 또 기뻐하면서도 잘못을 고치거나 은미한 뜻을 찾지 않는다면 이는 끝내 잘못을 고치고 실마리를 찾아 은미한 뜻을 알지 못할 것이니, 비록 聖人(성인)인들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
[네이버 지식백과] 자한편 23장 (논어집주, 성백효)
사리에 맞는 타당한 말을 받아들이지 않을 순 없다. 그러나 겉으로는 긍정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고치지 않고, 꾸짖기보다는 부드러운 말로 타이를 때는 순응하는 듯하나 결코 따르지 않는다. 이렇게 반성하지 않는 인간을 바르게 가르칠 방도가 없다는 말씀이다.
누구에겐가 충고를 들어도 인정하지 않고 고치지 않으면 무슨 소용인가. 아무리 훌륭한 사람의 연설을 듣는다 해도 당사자인 내가 바뀌지 않는다면 아무런 발전이 없다. 즉 가르칠 만 사람을 가르쳐야 성과도 있는 법이다.
인간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늘 실수나 잘못을 하면서 살아간다. 잘못을 깨달았을 때는 같은 사안에 대해서 다시는 실수하지 않도록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미 잃은 소이기 때문에 외양간을 고칠 필요가 없다(이미 실패한 뒤에 후회해도 소용이 없다)? 가 아니고 다른 소도 달아나지 않도록 늦었지만 문을 고쳐야 하는 것이다.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 이롭고, 충고의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 이롭다(양약고구 충언역이, 良藥苦口 忠言逆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