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17장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자왈 학여불급 유공실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울 때는 능력이 미칠지 못할까 안타까워해야 하며, 나아가 그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해야 한다.
* 學如不及(학여불급) : 배우는 것이 마치 힘이 미치지 않는 듯하다. 늘 부족하다는 마음을 가지고 열심히 배운다는 뜻이다.
* 猶恐失之(유공실지) : 그러고도 그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다.
- 猶(오히려 유) : 아직도, 그래도.
- 之(갈 지) : 學(학) 즉 배운 내용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배움은(학문을 함은) 따라가지 못할 듯이 하고도 오히려 잃을까 (따라잡지 못할까) 두려워하여야 한다.”
사람의 배움은 이미 따라가지 못할듯이 여기면서도 그 마음에 오히려 두려워하여 혹시라도 잃을까 염려해야 함을 말씀한 것이니, 배우는 자가 마땅히 이처럼 해야 함을 일깨워 주신 것이다.
정자(伊川(이천))가 말씀하였다. “배움은 따라가지 못할 듯이 〈부지런히〉 하면서도 오히려 잃을까 두려워하여 放過(방과)할 수 없으니, 잠시라도(조금이라도) 우선 내일을 기다린다고 말한다면 불가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태백편 17장 (논어집주, 성백효)
태백 17장은 학문을 함에 있어 배울 것이 너무 많아 따라가지 못하니, 쉬지 않고 배움에 힘써야 하며 배운 후에도 열심히 복습을 반복하여 잊지 않도록,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배움에 임하는 자세를 말하고 있다.
공자는 일찌기 자신은 나면서부터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옛 것을 좋아하고 알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듯이 꾸준하게 노력하는 사람을 절대 이기지 못한다.
흔히 배움에는 때가 있다고 하여 공부할 수 있을 때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고 하며, 실제로 어릴 때 배운 것을 가장 오랫동안 기억하기도 한다. 게으르고 나태한 시간 보내기로 배우는 것을 등한시한다면 그만큼 인생을 낭비하는 일이 될 것이다.
물론 살아감에 있어 지식이 모두는 아니겠으나 조화로운 삶이 아닌 단조로운 세상을 살아가기 쉽다.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계속 배움에 힘쓰고 거기에 삶의 경륜까지 쌓이다 보면 지혜롭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모름지기 목숨이 다하는 날까지 배움에의 열망을 버리지 말 것. 늘 쫓아가는 심정으로 부지런히 배움에의 길로 나아가는 것, 그것이 또한 젊게 사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