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술이 6장
子曰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
자왈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道)에 뜻을 두고, 덕(德)에 근거하며, 인(仁)에 의지하고, 예(藝)에서 노닌다."
* 志於道(지어도) : ‘志(지)’는 마음이 지향해 가는 것, ‘道(도)’는 인륜과 일상생활 사이에 마땅히 행하여야 할 것. 이것을 알아서 마음이 반드시 거기에 간다면 나아감이 올바르기 때문에 딴 길로 향하는 미혹이 없을 것이다.
* 據於德(거여덕) : ‘據(거)’는 잡아 지키는 뜻, ‘德(덕)’은 道(도)를 행하여 마음에 얻는 것. 도를 마음에 얻고 잘 지켜서 잃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으므로 날로 새로워지는 功夫(공부)가 있을 것이다.
* 依於仁(의어인) : ‘依(의)’는 떠나지 않음, ‘仁(인)’은 곧 사욕이 모두 없어져 심덕이 온전한 것. 工夫(공부)가 여기에 이르러 밥 한 그릇 먹는 사이에도 仁(인)을 떠남이 없다면 존양(存養)이 익숙해져서 가는 곳마다 천리의 유행 아님이 없을 것이다.
* 游於藝(유어예) : ‘游(유)’는 사물을 완상(玩賞)하여 성정(性情)에 알맞게 함을 이르고 ‘藝(예)’는 육예(六藝), 곧 禮(예) · 樂(악)의 文(문)과 射(사) · 御(어) · 書(서) · 數(수)의 법이니, 모두 지극한 이치가 들어있어서 일상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것. 아침저녁으로 六藝(육예)에 노닐어 의리의 旨趣(지취)를 넓힌다면 사무를 대응함에 여유가 있고 마음도 放失(방실)되는 바가 없을 것이다.
이 장은 사람이 학문을 함에 있어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함을 말씀한 것이다.
학문은 뜻을 세우는 것보다 먼저 할 것이 없으니, 道(도)에 뜻하면 마음이 올바름에 보존되어 있어서 다른 데로 가지 않을 것이요, 德(덕)을 굳게 지키면 도가 마음에 얻어져서 떠나지 않을 것이요, 仁(인)에 의지하면 덕성이 항상 쓰여서 물욕이 행해지지 않을 것이요, 藝(예)에 노닐면 작은 일도 빠뜨리지 않아서 動息(동식, 動靜)함에 기름이 있을 것이다.
배우는 자가 여기에 있어 그 선후의 순서와 경중의 등급을 잃지 않는다면 본말이 겸비되고 內外(내외, 心身(심신))가 서로 길러져서, 일상생활하는 사이에 조금의 틈(間斷(간단))도 없어 涵泳(함영, 이 속에 배어 있음)하고 종용하여, 어느덧 자신이 성현의 경지에 들어감을 스스로 알지 못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술이편 6장 (논어집주, 성백효)
군자는 진리[道]를 추구하고 실현하는데 뜻을 두어야 하고, 인간의 타고난 본성인 덕을 믿고 이를 근본으로 삼는다. 또한 진심으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인 인(仁)에 의지하고 다양한 요소[六藝]들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움을 이루어 내는 예술의 경지에서 노닐어야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한 가지에만 전문으로 뛰어날 것이 아니라 골고루 겸비한 전인(全人)으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학문에 매진하고 백성들을 배려하고 육예를 탐구하고 즐기면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것. 진정한 삶의 가치와 지향성을 보여준 것이다.
더불어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을 살펴보면,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첫번째 즐거움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다.
두 번째 즐거움은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고, 아래로는 사람들에게 한 점 부끄럽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즐거움은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다.
하지만 세 가지 즐거움 속에는 천하를 통일하여 군왕이 되는 것은 제외한다고 되어 있다. 역시 정명론에 기인한 것인가? 군자는 군자일 뿐 임금의 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
오늘의 말씀인 도(道), 덕(德), 인(仁), 예(藝)를 마음에 새기며 겸손하게 살자.
學無止境 (학무지경)
배움에는 끝이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