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칠석 七夕: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

by 스머프# 2024. 8. 10.
반응형

칠석(七夕)은 명절 중 하나로, 견우와 직녀 전설 속에서 은하수 동쪽의 우와 서쪽의 직녀오작교를 건너서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다. 칠석날로도 불린다.
한국, 중국, 대만은 음력 7월 7일이고, 양력으로는 대부분 8월이다. 일본은 양력으로 7월 7일이다.  

칠석: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

중국, 대만, 베트남에서는 연인의 날이라고 하여 데이트를 즐긴다. 대만은 한국의 발렌타인데이처럼 연인들끼리 선물을 교환하거나 초콜릿을 주고받는다. 일본에서는 '다나바타(七夕, たなばた)' 혹은 '호시아이(星合)'라고 부른다. '사사카자리((笹飾り)'라고 해서 소원을 적은 탄자쿠(短冊, 대나무에 소원을 적는 오색 종이) 를 대나무에 매다는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칠석은 쉬는 날이 아니므로 현대에서는 다소 퇴색된 느낌이고 심지어 모르는 사람도 있다.

유래

칠석(七夕)의 유래는 중국의 『제해기(薺諧記)』(위진남북조 시대 유송의 동양무의가 찬한, 기괴한 일들을 적은 짧은 이야기인 지괴소설집)에 처음 나타난다. 주(周)나라에서 한대(漢代)에 걸쳐 윤색이 면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칠석’의 명칭이 시경(詩經)에 처음 등장하여,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견우와 직녀(牽牛 織女) 전설 : 한국, 중국, 일본의 견우와 직녀의 전설은  모두 비슷하다.

옛날에 하늘의 목동인 견우와 직녀(옥황상제의 손녀?)가 서로 사랑에 빠져 일을 하지 않자 옥황상제의 노여움으로 두 사람을 은하수 동쪽 끝(견우성, 독수리별자리[鷲星座]의 알타이르(Altair)별)과 서쪽 끝(직녀성, 거문고별자리[琴星座]의 베가(Vega)별)으로 갈라 놓았다. 두 남녀의 애타는 그리움을 보다 못한 까마귀와 까치들이 매년 음력 7월 7일 밤(칠석)에 옥황상제 몰래 만남의 장을 주선하였다. 까치와 까마귀가 서로 머리를 맞대어 다리를 놓아(오작교, 烏鵲橋) 서로를 만나게 해 준 것이다. 

그래서 저녁에 두 사람이 만나 기뻐하는 눈물이 비(칠석물)가 되어 내리고 다음 날에는 헤어짐의 눈물이 비가 되어 내린다고 하며 까마귀와 까치는 모두 머리가 벗겨지게 되었다고 한다.

◆ 설화의 천문학적인 배경

독수리별자리[鷲星座]의 알타이르(Altair)별과, 거문고별자리[琴星座]의 베가(Vega)별을 가리키는 것으로 두 별이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이 두 별은 태양 황도상(黃道上) 운행할 때 가을 초저녁에는 서쪽 하늘에 보이고, 겨울에는 태양과 함께 낮에 떠 있으며, 봄날 초저녁에는 동쪽 하늘에 나타나고, 칠석 무렵이면 천장 부근에서 보이게 되므로 마치 일년에 한 번씩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견우성과 직녀성이 일년에 한 번씩 마주치게 되는 천문 현상은 중국의 주(周)나라 때부터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漢)나라에 이르러서 칠석 설화가 형성되고 여러 가지 풍속이 발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칠석 [七夕] (한국세시풍속사전)

 

한국의 칠석 풍속 문화

고분 벽화: 평안남도 대안시 덕흥리의 5세기초 고구려 광개토왕 시대의 고분 안쪽 벽화에는 견우와 직녀가 그려져 있다.

견우와 직녀 고분벽화(고구려)

⊙  걸교(乞巧): 여자들은 직녀성에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빌었다(걸교는 교묘한 재주를 구한다는 뜻).
  부사 칠석놀이(芙沙 七夕놀이):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에서 풍장패를 앞세워 길놀이 · 합궁놀이 · 황새샘치기 · 칠성굿놀이 · 견우직녀 상봉놀이 · 장치기놀이로 이어지는 민속놀이.
⊙  시짓기: 아이들은 견우와 직녀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  옷과 책을 볕에 말린다.
⊙  칠석날 새벽에는 참외, 오이 등의 1년생 과일을 상에 놓고 절하며 솜씨가 늘기를 빈다.
⊙  북두칠성에 장수와 복을 빌기도 했다.
⊙  경상북도 영일에서는 바닷물이 약수가 된다고 여겨 멱을 감는다.
⊙  칠석날은 신이 내려와서 수확량을 정해준다고 여겨 아침 일찍 들에 나가지 않거나 집안에서 근신한다.
  칠석제
⊙  광한루 :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으로 15세기에 칠석에서 유래한 오작교가 세워졌다. 춘향전에서는 춘향과 이몽룡이 사랑을 속삭이는 장소로 이 오작교가 등장하였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풍속 음식

⊙ 밀국수
⊙ 밀전병
⊙ 호박부침(호박전)
⊙ 백설기 

관련 속담

⊙ 까마귀도 칠월 칠석은 안 잊어버린다.
⊙ 칠석날 까치 대가리 같다.

'칠석'의 다른 이름

⊙ 칠성날(七星-), 꼼비기날, 농현
⊙ 풋구(경상북도북부), 호미씻이(경상북도문경), 꼼비기(구미선산지역).
⊙ 호미걸이(전라북도군산)


사사카자리 : 일본의 칠석 풍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