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입추(立秋) : 24절기의 13번째_가을이 시작하는 날

by 스머프# 2024. 8. 7.
반응형

가을이 시작한다는 뜻의 '입추(立秋)'는 태양 황도상의 위치로 정한 24 절기 중 13번째 절기이다. 

입추는 양력으로는 8월 7일이나 8월 8일이며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이며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한다.

이 때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로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풍년이라 여기며,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하고, 천둥번개가 치면 수확량이 적을 것이라고 점쳤다고 한다. 이 무렵은 김매기가 끝나가는 시기이고 또한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서 김장에 대비하는 날이기도 했다. 

입추 - 가을의 시작


언제부터 가을?

우리나라는 입추 다음에 말복이 오는데 대서(양력 7월 23일경)와 함께 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시기로 매우 덥고 실제로 가을 날씨에 접어드는 시기는 처서(處暑)이며 본격적인 가을은 추분(秋分)이 지나고부터이다. 

입추에는 아직도 무덥고 열대야에 늦더위도 있지만 입추가 지나고 나면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기상학에서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는데 우리나라 기상청은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 20°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 번째 날을 가을의 시작일로 정의한다.


풍속 : 기청제(祈晴祭)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이므로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게 좋다. 이 무렵부터 논의 물을 빼기 시작하고 1년 벼농사의 성패가 이때의 날씨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마나 태풍도 자주 발생하는 시기이다.
조선시대에는 입추가 지나 비가 5일 이상 오면 농작물이 치명적인 타격을 입으므로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영제)를 올렸다고 한다.


제철 음식

- 옥수수 :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예방, 이뇨작용으로 몸속 독소 배출.
- 전복 : 8-10월이 제철.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 각종 무기질 풍부. '바다의 산삼'
- 전어 :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가을 전어. DHA, 불포화지방산, 칼슘 등 성인병 예방에 좋음.
- 블루베리 : 세계 10대 슈퍼푸드. 항산화, 안티에이징, 식이섬유 풍부.


입추 속담

-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벼가 자라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로 생장속도가 빨라서 (귀가 밝은)개는 벼가 자라는 소리가 들릴 정도라는 뜻에서 온 말.

- 말복 나락 크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입추와 말복은 대개 비슷한 시기에 돌아오기 때문에 위의 속담과 같은 표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