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필사

[#438]논어 제19편 자장 21장: 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

by 스머프# 2024. 12. 13.
반응형

자장편 21장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
잘못을 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바라보고, 잘못을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우러러본다."


* 如日月之食(여일월지식):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라는 뜻으로, 군자(君子)가 세상에 끼치는 영향을 비유하는 말이다. 
- 食(밥 식/먹을 식, 먹이 사, 사람 이름 이): 갉아먹다. 蝕(좀먹을 식)과 같다.

- 皆(다 개): 모두, 다. 함께, 다 같이.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 見(볼 견, 뵈올 현, 관의 간): 자신도 모르게 눈에 뜨여서 보는 것을 말한다.

* 更也(경야): 고치다.
- 更(고칠 경, 다시 갱): 고치다, 개선하다. 변경되다

- 也(야):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
- 仰(우러를 앙): 우러러보다, 경모하다. 의지하다. 머리를 쳐들다.

논어 제19편 자장 21장

# 논어집주 해석

子貢이 말하였다. “君子의 허물은 해와 달이 먹히는 것(日食 · 月食)과 같아서 잘못이 있을 적에 사람들이 모두 보고, 허물을 고쳤을 적에 사람들이 모두 우러러본다.”

군자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커서 그가 범하는 과오는 곧 사람들에게 드러나게 되니, 이를 일식과 월식에 비유한 것이다. 또한 일식과 월식이 언제까지나 해와 달을 가리고 있을 수 없듯이, 해와 달이 다시 드러나면, 곧 군자가 잘못을 고치면 모든 사람들이 그를 우러러보게 되고, 이를 거울삼아 자신을 되돌아보게 된다는 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장편 21장 (논어집주, 성백효)

[#438]논어 제19편 자장 21장: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공자는 군자의 허물을 일식과 월식으로 비유해 군자들에게 경계로 삼고자 하였다. 아무리 작은 허물일지라도 자연현상인 일식과 월식처럼 모든 사람이 알아차리고 바라볼 수 있다. 허물을 고치지 않고 그대로 둔다는 자체가 허물이기 때문에 잘못을 고치면 모든 이들이 군자를 우러러보게 된다. 

모든 사람들은 실수를 하며 허물을 갖고 있다. 실수와 잘못을 저지른다고 하여도 반성하여 깨닫고 다시는 실수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발전이며 자기 수양이다. 그러므로 실수를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하지 않는가. 실수나 실패를 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배움이 생겨난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좋은 방향으로 깨우쳐 나가면 되는 것이다. 해와 달이 서로의 그림자에 의해 어두워지다가도 다시 그림자에서 벗어나면 밝아지게 마련이므로.

군자(지도자, 리더)의 실수는 남들이 하늘에 떠있는 해나 달의 변화를 쉽게 알아차리듯이 눈에 쉽게 띄게 된다. 또 그들의 행동은 많은 이들에게 작게든 크게든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처신을 하지 않으며 언행에 주의하고 늘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소인처럼 잘못했을 때 변명하며 꾸미지 말고 즉시 잘못을 고치는 것을 꺼리지 말아야 군자인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