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 30장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以思,
자왈 오상종일불식 종야불침이사
無益, 不如學也.”
무익 불여학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일찍이 종일토록 먹지 않고 밤새도록 자지 않고서 사색을 해 보았지만, 유익함은 없었고, 공부하는 것만 못했다."
- 嘗(맛볼 상): (음식을) 맛보다. 체험하다. 경험하다.
- 寢(잘 침): 자다. 쉬다, 휴식하다. 그치다.
* 不如學(불여학): 공부하는 것만 못하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내 일찍이 종일토록 밥을 먹지 않고 밤새도록 잠을 자지 않고서 생각해 보니, 유익함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못하였다.”
이것은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는 자를 위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마음을 수고롭게 하여 반드시 求(구, 탐구)하려고 하는 것이 마음을 겸손하게 하여 스스로 아는 것만 못하다.
이 씨(李郁(이욱))가 말하였다.
“夫子(부자)는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은 자가 아니요, 다만 이 말씀을 남겨서 사람들을 가르치셨을 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30장 (논어집주, 성백효)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생각만 하는 것은 무익하고, 차라리 그 시간에 한 자라도 공부를 하는 것이 낫다. 생각하는 것은 모든 행동의 시초가 되지만 기초적인 학문의 수양 없이는 아무런 이득이 되지 못한다. 과거의 문화나 문명 및 지식을 바탕으로 생각만 하고 더 이상의 배움을 통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는다면 세상은 발전할 수가 없을 것이다.
공자는 학문은 하지 않으면서 오로지 생각만 한다고 해서 무엇인가 깨달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기초적인 소양이 있어야 사색을 해도 결과가 있다는 말이다. 논어 위정편에서도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속기 쉽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라고 하면서 학습과 사색과의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널리 배우고, 자세하게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명확하게 판단하며, 독실하게 행한다(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辯之 篤行之, 박학지 심문지 신사지 명변지 독행지: 중용 20장)는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말씀도 있으니 이는 학습을 통하지 않은 사고의 무익함에 대해 경계하신 말이라고 할 것이다.
공자는 생각 위주의 사색보다는 성현의 책을 읽고 쓰고 외우는 것이 더 좋은 공부법이라고 하였으니 역시 지독한 공부꾼이었던 공자다운 말씀이다.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공부라도 배우는 과정의 즐거움을 기억하고 끊임없이 노력해보자.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學而時習之不亦說(悅)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