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 29장
子曰 “過而不改, 是謂過矣.”
자왈 과이불개 시위과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잘못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잘못이다."
* 是謂過矣(시위과의): 이것이 잘못이다.
- 謂(이를 위): 이르다, 일컫다, 논평하다. ~이다. 爲(위)와 같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을 이것을 허물이라 한다.”
허물이 있으나 능히 고치면 허물이 없는 데로 돌아올 수 있다. 오직 허물을 고치지 않으면 그 허물이 마침내 이루어져서 장차 미처 고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29장 (논어집주, 성백효)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진짜 잘못이다. 자신의 허물을 알면서도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면서 고집스럽게 고치지 않는 자는 그 자체가 잘못이다. 완벽하게 허물이 없을 수는 없으나 허물을 알면 고쳐야 하는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함과 인간이라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은 누구라도 완벽할 수 없고 허물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자신의 과오를 발견했을 때는 자기반성과 성찰을 통하여 바로 고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사람은 천성이 바뀌지 않으므로 아무리 계몽하고 교화를 하여도 소용없다고 하여 고쳐 쓰는 것이 아니라고도 한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하지 않는가.
사실 달라지려고 아무리 노력해도 아주 조금 바뀔 뿐이지 큰 틀 자체는 완전히 바뀌지 않아서 시간이 지나다 보면 어느새 원 위치로 가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잘못을 반박할 수 있는 증거가 있다 하더라도 사람은 이를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쉽사리 고쳐지지 않는다.
논어 학이편에서도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과즉물탄개, 過則勿憚改)는 문장이 나온다. 잘못이 있으면 당연히 고쳐야 하고 이를 꺼리게 된다면 다음에는 더 큰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 그러므로 허물을 고치는데 꺼리지 말고 즉시 고치도록 노력하면서 살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