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 27장
子曰
자왈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많은 사람들이 미워한다 해도 반드시 잘 살펴보아야 하며 ,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다 해도 반드시 잘 살펴보아야 한다."
* 衆惡之 必察焉(중오지 필찰언): 여러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며. 惡는 ‘오’로 읽는다.
- 惡(악할 악, 미워할 오): 악하다. 나쁘다.
- 必察焉(필찰언): 혹 오해의 소지가 있나를 살펴보는 것이다.
- 察(살필 찰): 살피다. 살펴서 알다. 상고하다.
* 衆好之 必察焉(중호지 필찰언): 여러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사람들이 모르는 내면의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 논어집주 해석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며, 여러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양 씨(楊時(양시))가 말하였다.
“오직 仁者(인자)만이 능히(제대로) 사람을 좋아하고 미워할 수 있으니, 여러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고 미워한다고 해서 살펴보지 않는다면 혹 사사로움에 가릴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27장 (논어집주, 성백효)
많은 사람들이 싫어해도 반드시 좋은 점이 없는지 살펴보아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해도 반드시 나쁜 점이 없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많은 이들이 좋아한다 해도, 싫어한다 해도 위선이나 모함이 있을 수 있으니 자신만의 가치관으로 잘 살펴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세상에는 완전하게 선한 사람도, 악한 사람도 없다. 다산 정약용은 대중이 싫어하더라도 더러 혼자만 진실한 자일수 있으며, 대중이 좋아하더라도 더러 악한 자일 수도 있다고 해석하였다. 다른 사람들의 말만 듣고 섣불리 호불호를 말하지 말 것이며 반드시 직접 겪어본 후에야 그 사람을 평가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삼인성호(三人成虎, 세 사람만 우기면 없는 호랑이도 만든다)란 말도 있지 않은가. 사람은 심리학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동일한 말에 노출되어 점점 익숙해지면 그 말을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진실성 효과). 마녀사냥이나 댓글 등을 통한 여론조작 등이 그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근거를 가지고 자기가 직접 보고 들은 사실에 대해서만 말해야 한다.
또 공자는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좋아할 줄도 알고, 미워할 줄도 안다고도 하였다(唯仁者 能好人 能惡人,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논어 이인편 3장). 모두에게 인기가 많다고 해서 꼭 군자인 것은 아니다. 군자는 조화를 이루지만 휩쓸리지 않으므로 부화뇌동하지 말아야 한다. 혹시라도 대중에 의해 조장된 결과가 아닌지 자신의 안목을 키워 숨겨진 것을 판단하는 혜안을 길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