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 9장
子貢問爲仁, 子曰
자공문위인 자왈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공욕선기사 필선리기기
居是邦也, 事其大夫之賢者, 友其士之仁者.”
거시방야 사기대부지현자 우기사지인자
자공이 인(仁)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기술자는 그의 일을 잘하려고 할 때 반드시 먼저 자신의 연장을 잘 손질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나라에 살든지, 그 나라의 대부들 중 현명한 사람을 섬기고, 그 나라의 선비들 중 인한 사람과 벗해야 한다."
* 子貢問爲仁(자공문위인): 자공이 인을 행하는 것에 관하여 묻다.
- 爲(위): 행하다, 실천하다.
* 善其事(선기사): 자신의 일을 잘하다.
- 善(선): 훌륭하게 하다, 잘하다. '훌륭하다'라는 뜻의 형용사가 사역동사로 전용된 것.
- 其(기): 工(공)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 利其器(리기기): 자신의 기구를 갈다.
- 利(리): 날카롭게 하다, 갈다. '날카롭다'라는 뜻의 형용사가 사역 동사로 전용된 것.
* 居是邦也(거시방야): 어떤 나라에 살다.
- 是(시): 막연한 것을 가리키는 지시대사. 불특정의 것인 만큼 '모든'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 也(야):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
# 논어집주 해석
‘賢(현)’은 일로써 말하였고, ‘仁(인)’은 덕으로써 말하였다. 夫子(부자)께서 일찍이 자공은 자기만 못한 자를 좋아한다고 하셨다. 그러므로 이로써 그에게 말씀해 주신 것이니, 두려워하고 切磋(절차)하는 바가 있어서 그 덕을 이루게 하고자 하신 것이다.
정자(伊川(이천))가 말씀하였다. “자공은 仁(인)을 행함을 물었고 인을 물은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그에게 인을 행하는 자료로써 말씀해 주셨을 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령공편 9장 (논어집주, 성백효)
인을 행하기에 앞서 실천하기 위한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는 말씀이다. 뛰어난 기술자가 일을 하기 전에 자신의 공구를 먼저 갈고닦는 것과 같다.
공자의 아끼는 제자인 자공(단목사)은 언변이 뛰어났고 정치적 수완도 출중하여 노나라와 위나라에서 재상을 지낸 인물이다. 장사적 이재에도 밝아서 엄청난 부를 쌓았다. 자공은 공자와 공자학당의 경제를 책임질 정도로 공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자공이 인을 행하는 방법을 물은 것은 정치 일선에 나아갔을 때의 실천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 공자는 어느 나라에서 정치를 하든지 그 나라의 현명한 대부를 섬기고 어진 사람들을 사귀어야 한다는 가르침을 주었다. 자공은 항상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을 주로 사귀었기 때문에 공자는 이를 염려하여 너보다 나은 사람들을 사귀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어디에서든 좋은 인맥은 성공함에 있어 훌륭한 견인이 되기 때문이다.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그들은 최고의 도구를 사용한다. 장비가 훌륭할수록 효율과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더욱 빼어난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미리미리 준비를 해야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가 있는 것이다.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잡는다는 말이 있다. 좋은 기회가 와도 그것에 맞는 능력이 없어서 포기해야 한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