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헌문 4장
子曰 “邦有道, 危言危行,
자왈 방유도 위언위행
邦無道, 危行言孫.”
방무도 위행언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라에 도(道)가 행해지고 있으면 지조 높은 말을 하고 지조 높게 행동을 하지만,
나라에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행동은 지조 높게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해야 한다."
* 危(위태할 위):위태하다, (마음을 놓을 수 없이) 불안하다, 두려워하다.
여기서는 주희는 '높다'라는 뜻으로 풀었고 포함과 황간은 '엄하다, 날카롭다'라는 뜻으로 풀었다.
논어집주 해석
‘危(위)’는 높음이요, ‘孫(손)’은 낮추고 순한 것이다.
윤 씨(尹焞(윤돈))가 말하였다.
“군자의 몸가짐은 변할 수 없지만 말에 이르러는 때로는 감히 다하지 못하여 禍(화)를 피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나라를 다스리는 자가 선비로 하여금 말을 공손하게 하는 것이 어찌 위태롭지 않겠는가.”
[네이버 지식백과] 헌문편 4장 (논어집주, 성백효)
선한 치자로 인해 나라의 정치가 바르게 돌아갈 때에는 말과 행동을 함에 있어 올바르게 굽힘 없이 해야 한다. 하지만 나라에 도가 없이 혼란할 때는 행동은 높고 바르게 해야 하지만 말은 공손하게 하여 화를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선비(군자)의 처세술에 관한 말씀이다.
군자나 선비는 항상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말도 위엄 있게 지조 있게 해야 한다. 할 말을 당당하게 하고 행동도 의연하게 해야 한다. 나라가 도가 있는 정치일 때는 평화로워서 하고자 하는 언행을 다 한다고 해도 탈이 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라에 도가 없어 어수선한 상태에서는 행동은 물론 말도 조심해서 해야 한다.
역사를 보면 말 한마디 잘못하여 역적으로 몰려서 패가망신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군자라면 당연히 해야 할 말은 당당하게 해야겠지만 어지러운 상황에서 사달을 만들어 굳이 풍파를 만들 필요는 없는 것이다. 조심해서 공손함을 잃지 않는다면(차라리 입 다물고 있다면) 화를 피해 갈 수 있다. 같은 말이라도 과격한 말은 피하고 상대방에 대한 심기를 거슬리지 않게 설득하거나 겸손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