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당 18장
色斯擧矣, 翔而後集.
색사거의 상이후집
曰 “山梁雌雉, 時哉! 時哉!”
왈 산량자치 시재 시재
子路共之, 三嗅而作.
자로공지 삼후이작
새들이 사람들의 기색을 살피다가 날아올라 빙빙 돌다가 내려앉았다.
이를 보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산의 다리에 있는 까투리야, 제철을 만났구나! 제철을 만났구나!"
자로가 그 까투리를 잡아서 바치자, 세 번 냄새를 맡으시고는 일어나셨다.
* 色斯擧矣(색사거의): (자로가 꿩을 잡을 것 같은 수상한) 안색을 하면 곧 날아오르다.
- 斯(사): 조건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접속사.
* 翔而後集(상이후집): 날개를 펴고 빙빙 돈 뒤에 내려앉다.
- 翔(날 상)
- 而後(이후): 이후. =以後(이후)
- 集(집): 여러 마리의 새가 나뭇가지에 내려앉다.
- 梁(들보 량(양))
- 雌(암컷 자)
- 雉(꿩 치/성가퀴 치, 짐승 이름 사, 땅 이름 이, 키 작을 개)
* 子路共之(자로공지): 자로가 그것을 (활로 잡아가지고 구워서) 바치다.
- 共(한 가지 공)=供(이바지할 공)
논어집주 해석
새가 사람의 안색이 좋지 못한 것을 보면 날아가 빙빙 돌면서 살펴본 뒤에 내려앉으니, 사람이 기미(낌새)를 보고 일어나(떠나가) 거처할 곳을 살펴 선택함이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의 위와 아래에 반드시 빠진 글이 있을 것이다.
형 씨(邢昺(형병))가 말하였다.
“‘梁(량)’은 다리이다. ‘時哉(시재)’는 꿩이 물을 마시고 모이를 쪼아 먹는 것이 제때를 얻었음을 말씀한 것이다. 자로가 이것을 알지 못하고 時物(시물, 제철에 알맞은 음식)이라 생각하여 장만해서 올리니, 공자께서 먹지 않으시고 세 번 냄새를 맡고 일어나셨다.”
조 씨(晁說之(조설지))가 말하였다.
“석경에는 ‘嗅(후)’ 자가 戞(창 알) 자로 되어 있으니, 꿩이 욺을 이른다.”
유빙군(劉勉之(유면지))이 말하였다.
“‘嗅(후)’ 자는 마땅히 狊(날개 펼 격) 자가 되어야 하니, 음이 古闃反(고격반)이니 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것이다. 《爾雅(이아)》에 보인다.”
내가 살펴보건대 뒤의 두 해설과 같다면 ‘共(공)’ 자는 마땅히 붙잡는다는 뜻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반드시 빠진 글이 있으니, 억지로 해설할 수 없다. 우선 들은 바를 기록하여 아는 자를 기다리노라.
[네이버 지식백과] 향당편 17장 (논어집주, 성백효)
공자가 산의 다리에서 놀고 있는 꿩을 보고 기뻐하자 자로는 스승이 제철음식인 꿩고기를 드시고 싶어 하는 줄 알고 꿩을 잡아 바쳤다. 이에 음식 냄새만 맡고는 드시지 앉으셨다. 공자는 새를 비유해서 사람의 처신을 가르친 내용이라 볼 수 있다.
향당의 마지막인 18장은 해석이 분분하여 앞 뒤의 문장이 빠졌을 것이라고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미물인 새도 사람의 안색을 살피어 앉을자리를 가리는데 하물며 사람이야 더욱 눈치껏 처신을 잘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공자의 속뜻을 헤아려 보아야 한다. 군자는 낌새를 보면 곧 착수하지 하루종일 기다리지 않는다(君子見幾而作, 不俟終日).
이를 깨우치지 못한 자로가 오해하여 꿩을 잡아 바치자 3번 냄새만 맡고 드시지 않음은 자로의 마음과 정성만을 받은 것이다. 깊은 속뜻을 이해하지 못한 자로였지만 스승에 대한 사랑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였고 공자 역시 충성스러운 자로의 성의를 감사하게 여기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