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필사

[#154]논어 제9편 자한 4장 : 자절사 무의무필무고무아

by 스머프# 2024. 3. 4.
반응형

자한 4장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자절사   무의   무필   무고   무아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절대로 하지 않으셨다. 사사로운 뜻을 갖는 일이 없으셨고, 기필코 해야 한다는 일이 없으셨으며, 무리하게 고집부리는 일도 없으셨고, 자신만을 내세우려는 일도 없으셨다.


* 絶四(절사): 네 가지를 끊다, 네 가지를 전혀 하지 않다.

* 毋意(무의): 자의(恣意)로 결정하는 일이 없다. 확실하지 않은 일을 마음대로 단정하지 않다.
   -  毋(무): 부정을 표시하는 부사. 無(무)·不(불)과 같다.

* 我 (아) : 자신을 내세우려 하거나 자신이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아집. 

논어 제9편 자한 4장


논어집주 해석

 孔子는 네 가지가 완전히 없으셨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으셨으며 기필함이 없으셨으며 집착(고집)함이 없으셨으며 사사로움(이기심)이 없으셨다.    

‘絶(절)’은 완전히 없는 것이다. ‘毋(무)’는 《史記(사기)》에 無(무)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 옳다. ‘意(의)’는 사사로운 뜻이요, ‘必(필)’은 기필함이요, ‘固(고)’는 執滯(집체)함이요, ‘我(아)’는 私己(사기, 사사로움)이다. 

이 네 가지는 서로 終(종)과 始(시)가 되어서 사사로운 뜻에서 시작되어 기필함에 이루어지고, 고집함에 머물러 私我(사아)에서 완성된다. 意(의)와 必(필)은 항상 일의 앞에 있고, 固(고)와 我(아)는 항상 일의 뒤에 있으니, 我(아)가 다시 私意(사의)를 내게 되면 물욕에 이끌려 끊임없이 순환하게 된다.

정자(伊川(이천))가 말씀하였다. “여기의 ‘毋(무)’ 자는 금지하는 말이 아니다. 聖人(성인)은 이 네 가지를 없앰에 어찌 금지할 필요가 있겠는가.”
장자가 말씀하였다. “이 네 가지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 이는 천지와 서로 같지 못한 것이다.”
양 씨(楊時(양시))가 말하였다. “지혜가 충분히 성인을 알 수 있고 자세히 살펴보아 묵묵히 아는 자가 아니면 이것을 기록할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한편 4장 (논어집주, 성백효)


[#154]논어 제9편 자한 4장 :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공자의 삶의 자세 = 절사 : 무의, 무필, 무고, 무아

사사로운 의견이나 주관적인 억측을 갖지 않고, 반드시 이렇게 해야만 한다고 무턱대고 단언하는 것이 없고, 내가 옳다고 똥고집, 황소고집도 부리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입장은 생각하지 않고 나 혼자 잘 났다고 아집을 부리지도 않으셨다는 공자의 천명을 향한 자세의 삶을 보여준다. 

논어 이인편 10장에서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는 것도 없고 절대로 안 된다는 것도 없으니 오직 올바른 의리를 따를 뿐이다라는 말과 통한다. 

개인적인 이기심을 버리고 사리사욕을 부리지 말 것, 무슨 일이든 장담부터 하지 않는 언행일치를 보일 것, 쓸데없는 것에 목숨 걸고 고집을 부리지 말 것, 주변인들의 의견도 수렴하고 존중하면서 겸손한 자세로 세상을 살아갈 것! 과연 이토록 정제된 삶의 자세를 갖고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될 것인가.  

비록 미천한 소인이지만 공자처럼 4가지를 끊어 버리면서 살기를 하루하루 노력하자. 앞을 내다보며 깊이 생각하고 언제나 겸양된 자세로 늘 배우는 삶을 갖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