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한 2장
達巷黨人曰, “大哉, 孔子!
달항당인왈 대재 공자
博學而無所成名.”
박학이무소성명
子聞之, 謂門弟子曰,
자문지 위문제자왈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오하집 집어호 집사호
吾執御矣.”
오집어의
달항 마을의 사람이 말하였다. "위대하도다, 공자여!"
그러나 폭넓게 공부는 했지만, 한 분야에서도 전문적인 명성을 이루지는 못했구나."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문하의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무엇을 전문으로 할까? 수레몰이를 전문으로 할까? 활쏘기를 전문으로 할까?
그렇다면 나는 수레몰이를 전문으로 해야겠다."
* 達巷黨人 (달항당인) : 달항 고을 사람이라는 뜻. 지금의 산동성 자양현(滋陽縣) 서북쪽이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 黨(당) : 500집으로 이루어진 고을을 뜻한다.
* 無所成名 (무소성명) : 이름을 이룬 바가 없다, 즉 명성을 얻을 만큼 특출 나게 잘하는 전문분야가 없다.
* 吾何執 (오하집): (명성을 이루기 위하여) 내가 무엇을 전문적으로 다룰까.
- 執(집): 한 가지를 붙잡고 늘어지다, 한 가지를 전문적으로 다루다, 전공하다.
* 執御 (집어): (육예 중에서 가장 배우기 쉬운) 마차 몰기를 전문으로 하다.
논어집주 해석
達巷黨 사람이 말하기를 “위대하다, 孔子여! 博學하였으나 〈한 가지 잘하는 것으로〉이름을 이룬 것이 없구나.” 하였다.達巷黨 사람이 말하기를 “위대하다, 孔子여! 博學하였으나 〈한 가지 잘하는 것으로〉이름을 이룬 것이 없구나.” 하였다.
孔子께서 이를 들으시고 門下의 弟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내 무엇을 專的으로 잡아야 하겠는가? 말 모는 일을 잡아야 하겠는가? 활 쏘는 일을 잡아야 하겠는가? 내 말 모는 일을 잡겠다.”
達巷(달항)은 黨(당, 지역단위)의 이름이니, 그 사람의 성명은 전하지 않는다. ‘博學(박학)하였으나 〈한 가지 잘하는 것으로〉 이름을 이룬 것이 없다.’는 것은 학문이 넓음을 찬미하였으나 한 가지 技藝(기예)로 이름을 이루지 못했음을 애석히 여긴 것이다.
‘執(집)’은 專的(전적)으로 잡는 것이다. ‘射(사)’와 ‘御(어)’는 모두 한 가지 技藝(기예)인데, ‘御(어)’는 남의 마부가 되어서 잡는 일이 더욱 비천하다. ‘나로 하여금 무엇을 전적으로 잡아서 이름을 이루게 하려고 하는가? 그렇다면 내 장차 말 모는 일을 잡겠다.’고 말씀하셨으니, 남이 자신을 칭찬하는 것을 들으시고 謙辭(겸사)로써 받으신 것이다.
윤 씨(尹焞(윤돈))가 말하였다. “聖人(성인)은 道(도)가 온전하고 德(덕)이 완비되어 어느 한 가지 所長(소장)으로 지목할 수 없다. 達巷黨(달항당) 사람이 공자의 위대함을 보고, 생각하기를 배운 것이 넓으나 한 가지 잘 함으로 세상에 이름을 얻지 못했음을 애석히 여겼으니, 성인을 흠모하였으나 알지 못한 자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로 하여금 무슨 일을 전적으로 잡아서 이름을 내게 하려고 하는가? 그렇다면 내 장차 말 모는 일을 잡겠다.’고 하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한 편 2장 (논어집주, 성백효)
달항 마을 사람이 공자의 박학다식함을 찬탄하면서도 어느 하나의 특정 분야에서 명성을 이루지 못했다고 애석해하자, 공자는 농담으로 가장 손쉬운 마차 몰기나 하여 명성을 얻어볼까 하고 말한 것이다. 반어법적인 표현이 아닌가 싶다.
공자는 원래 군자는 기물과 같은 전문인(군자불기, 君子不器)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모든 것에 비범한 성인이었지만 달항 사람은 공자의 참모습을 몰랐다. 박학다식하지만 뭐 하나 똑 부러지게 잘하는 일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해본다. 옛말에 열 가지 재주 있는 사람이 저녁거리가 간 데 없다는 말처럼 그런 뉘앙스를 풍긴다.
공자는 전문성은 없으나 자신을 위대하다고 평한 것에 대해 겸손(?)을 보이며 말몰이 같은 비천한 일(세상을 이끌어 나가는 마부?)이라도 전공하겠다고 하신 것이다. 사실 공자의 박학다식과 비범함은 많은 제후들에게 인정을 받지 못해서(견제였을 수도 있고) 중차대한 관료로 쓰임에는 미미했다.
육예(예, 악, 활쏘기, 말타기, 글쓰기, 수학)를 통달하고 그것을 제자들에게 직접 가르쳤던 공자는 언제, 어디서, 어떤 관직을 수행했어도 완벽하게 했겠지만 윗사람과의 호흡은 맞지 않았을 것이다. 그의 인을 지향한 덕치는 이론처럼 딱 맞아떨어지지는 않았을 거니까 말이다.
어설프게 알면서 자랑질하고 교만을 떠는 소인배들은 공자의 자신을 낮추는 이런 겸양을 배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