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19장
子曰 "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
자왈 아비생이지지자 호고민이구지자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세상의 도리를) 안 사람이 아니라, 옛 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그것을 추구한 사람이다."
* 生而知之者 (생이지지자) : 태어나면서부터 안 사람, 즉 태어나면서부터 세상의 도리와 이치를 안 천재.
* 敏以求之 (민이구지) : 부지런함으로써 그것을 추구하다, 즉 부지런히 세상의 도리와 이치를 추구하다. 敏 (민)은 '부지런히, 민첩하게, 힘써' 등의 의미.
논어집주 해석
‘나면서부터 안다.’는 것은 기질이 청명하고 의리가 밝게 드러나서 배우기를 기다리지 않고 아는 것이다. ‘敏(민)’은 빠름이니, 汲汲(급급)히 함을 이른다.
윤 씨(尹焞(윤돈))가 말하였다. “공자께서는 나면서부터 저절로 안 聖人(성인)으로서 매양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씀하신 것은 비단 사람들을 勉勵(면려)하려 해서일뿐만 아니다.
나면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의리일 뿐이니, 禮樂(예악)과 물건에 대한 명칭과 古今(고금)의 事變(사변)으로 말하면 또한 반드시 배우기를 기다린 뒤에야 그 실제를 징험 할 수 있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술이편 19장 (논어집주, 성백효)
生而知之者 (생이지지자) 란 말씀이 계씨 편 9장에도 있다. “태어나면서 아는 자가 최상(最上)이고, 배워서 아는 자가 그다음이고, 어려움을 겪은 다음에 배우는 자가 또 그다음이니, 어려움을 겪고도 배우지 않으면, 백성으로서 최하(最下)가 되는 것이다.(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즉 공자는 사람의 수준 됨을 생이지지자, 학이지지자, 곤이학지자, 곤이불학자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하신 것이다. 태어나면서 천재성을 지닌 것은 음악이나 미술 등 예술가들이 있다. 천재성을 타고난 그들은 설명하기 불가할 정도로 그 분야에 있어서 뛰어나다. 그렇지 않으면 배워서 아는 사람이 될 수밖에 없다. 배움이 절실히 필요한데도 배우지 않는 사람까지 구분해서 말씀하셨다.
태어나면서 세상의 도리를 아는 자가 어디 있을까? 공자가 워낙 박식하다 보니 제자들이 아마도 스승은 태어나면서부터 온갖 학식과 지혜를 겸비하고 태어나셨나 보다는 의구심을 가진 듯하다. 그에 따라 공자가 자신에게 빗대어 제자들을 일깨우는 대목의 하나이다.
공자는 나면서부터 도를 아는 성인, 천재가 아니라 자신의 노력으로 옛 것을 열심히 찾고 구하여 앎을 성취한 것이지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고 하셨다. 그러니 게으름 피우지 말고 세상의 도리와 이치를 열심히 추구해야 할 것이다라고 제자들에게 경계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아무리 천재라도 노력하는 자를 이길 수는 없다. 천재가 노력까지 한다면 이건 반칙이지만. 흔히 즐기는 자를 천재도 노력하는 자도 따라가지 못한다고 하나 그렇게 삼위일체로 똑 떨어질 수는 없다. 금전과 상관이 없다면야 그럴지도 모르겠으나 돈과 관련될 경우 일단 직업이 되면 즐기기는 쉽지 않다. 즐기기만 하다간 경험 상 굶어 죽을 수도 있다. 재산이 엄청 많아서 아무리 써도 써도 통장 앞자리 수가 변하지 않는다면 몰라도.
제일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 '현명한 노력'을 해야할 것 같다. 미련하게 포커스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 노력만 한다고 될 것도 아니고 머리 좋다고 무시하여 방관해서도 안된다. 남과 비교하여 자존감 떨어뜨리지 말고 그냥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여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죽을 때까지 배워야 하는 것이 인생! 항상 배우는 자세로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