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문 36장
或曰 "以德報怨, 何如?"
혹왈 이덕보원 하여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자왈 하이보덕 이직보원 이덕보덕
어떤 사람이 여쭈었다.
"은덕으로써 원한을 갚으면 어떻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덕은 무엇으로 갚겠는가? 원한은 그릇된 것을 바로잡는 마음으로 갚고, 은덕은 은덕으로 갚는 것이다."
* 以德報怨(이덕보원): 은덕으로 원수를 갚다. "報怨以德(보원이덕)"(은덕으로 원수를 갚는다[『老子(노자) 63』])이라는 노자의 말에 대하여 물은 것이다.
- 報(갚을 보, 빨리 부): 갚다, 알리다.
- 怨(원망할 원, 쌓을 온): 원망하다, 고깝게 여기다.
- 直(곧을 직, 값 치): 곧음, 정직함.
# 논어집주 해석
혹자가 말한 것은 지금 《老子(노자)》책에 보인다. ‘德(덕)’은 은혜를 이른다.
그 원망하는 바(상대)에 이미 덕으로써 갚았다면 나에게 덕이 있는 자에게는 또 장차 무엇으로써 갚을 것인가라고 말씀한 것이다.
원망이 있는 자에게는 사랑하고 미워함과 취하고 버림을 한결같이 지극히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음으로써 하는 것이 이른바 정직이란 것이다. 德(덕)을 입은 자에게는 반드시 덕으로써 갚고 잊지 않아야 한다.
혹자의 말은 후덕하다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성인의 말씀을 가지고 살펴보면 有意(유의)의 私心(사심)에서 나와 원망과 덕에 대한 갚음이 모두 공평함을 얻지 못하였음을 볼 수 있으니, 반드시 夫子(부자)의 말씀과 같이 한 뒤에야 두 가지의 갚음이 각각 제자리를 얻게 된다. 그러나 원망을 원수로 여기지 않고 덕을 갚지 않음이 없으면 또 후덕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이 장의 말씀은 명백하고 간략하면서도 그 뜻은 곡절이 있고 반복하여 마치 造化(조화)의 簡易(간이)가 알기 쉽지만 미묘한 진리가 무궁한 것과 같으니, 배우는 자들이 마땅히 자세히 완미해야 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헌문편 36장 (논어집주, 성백효)
은덕도 은덕으로 갚고 원수도 은덕으로 갚는 것은 형평이 맞지 않으며, 원한이 사무쳐서 지나치게 보복을 하는 것도 좋지 않다. 정직함으로써 원망을 갚고 덕으로써 덕을 갚아야 한다.
'직(直)'은 주희에 따르면 "원망하는 자에게는 사랑하고 미워함과 취하고 버림을 한결같이 지극히 공평하게 하고, 사사로움이 없이 하는 것이 정직이란 것이다"고 하였다.
원한을 은덕으로 갚는다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을 흔히 쓰듯이 당한 만큼 갚으려 하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받은 만큼 돌려주려는 것이 정직한 마음이다. 뼈에 사무치는 원한이 있다면 받은 만큼 돌려주어야 정의로운 일이 되지 않을까. 사회제도가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지 않겠지만 그렇다고 과도한 복수전(살인에 살인 등)은 지양해야 할 일이다.
자기에게 해를 끼친 자에게 사랑으로 용서하고 보듬으려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설령 그렇다고 하여도 (神이라면 모를까) 위선일 뿐이다. 언젠가는 탈이 난다. 그러므로 원한을 은덕으로 갚으려 오지랖을 부리지 말고, 받은 은덕을 (외면하지 말고) 은덕으로 반드시 갚도록 하자. 배은망덕(背恩忘德)해서는 안되지 않겠는가?